벽오동 무엇인가?

봉황새가 집짓고 산다는 신비의 벽오동나무

 

 

 

 

 

 

 

 

 

 

 

 

 

 

梧桐叶

 

 

나무 열매3.jpg

 

 

[벽오동의 봄철 붉은 새순, 잎, 꽃눈, 꽃봉오리, 수꽃, 암꽃, 암꽃 어린열매, 암꽃 열매 5갈래로 자라는 모습, 푸른열매, 누렇게 익은 열매, 화피에 4개가 붙은 열매, 열매속 속씨, 푸른나무껍질, 겨울눈, 어린 묘목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혈압강하작용, 이뇨작용, 심장수축작용, 근육의 긴장도를 높이는 작용, 지혈작용, 순기, 화위, 소식, 거풍제습, 청열해독, 상식복사(불결한 음식물을 먹고 일어난 복통), 설사, 풍습성으로 인한 사지마비동통, 천식, 외상에 의한 골절, 등에 발진하여 몹시 아픈 증상, 소화촉진, 폐를 윤택하게 함, 비장을 튼튼하게 함, 단독, 충치, 탈항, 부인의 토혈, 요슬비통, 새살이 돋아나게 함, 적체제거, 매독성 골통, 염창(경부 궤양), 나두, 칼에 베인 상처 출혈, 열림, 풍습골통, 종기, 악창, 외상 출혈, 소화장애, 장풍하혈(장출혈), 위통, 산증, 소아구내염, 머리카락이 희어지는데, 부종, 화상, 관절통, 부정자궁출혈, 월경부조, 타박상, 정신피로, 육체적피로, 병후쇠약, 풍습으로 인한 통증, 마비, 수종, 부스럼, 고혈압[임상보고], 치질, 창상출혈을 다스리며 봉황새가 거주한다는 신비의 벽오동나무

벽오동나무는 벽오동과 벽오동속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이다.

벽오동나무의 학명은 <irmiana simples (Linne) W. F. Wight>이다. 벽오동속은 전세계에 약 1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종이 있다. 높이는 15m 정도 까지 자란다. 원산지는 중국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관상수로 많이 심으며 일부는 야생 상태가 되어 산에서도 자란다.

줄기는 늘 푸른빛을 띤다. 잎은 어긋나는데 끝에서는 모여난다. 잎 끝이 3~5개로 갈라지고 심장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에 짧은 털이 있다.

암수한그루로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자잘한 연노란색 꽃이 피는데 암꽃과 수꽃이 섞여 있다. 6월말에서 7월 초순경에 수꽃이 노랗게 먼저 피고 꽃받침은 선형으로 뒤로 젖혀지면서 꼬여 있다가 붉은색으로 변하면서 땅에 떨어지고 7월 중순경에 수꽃이 거의 다 떨어질 무렵에 암꽃이 붉은 자색으로 피면서 꽃잎이 떨어지고 동시에 암술 열매가 자라면서 5갈래로 갈라지면서 가장자리에 둥근씨가 보통 4개가 달린다.

열매는 골돌과로 익기 전에 5개가 손 바닥 모양으로 벌어지며 껍질 심피 가장자리에
둥근 씨가 4~5개 정도 붙어 있다. 씨는 0.5~0.7cm의 크기의 구형으로 식용이 가능하다. 정원수로 많이 심고 목재는 상자용으로 수피는 섬유용으로도 사용한다. 씨를 볶아서 커피 대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개화기는 6~7월이고 결실기는 10월이다.
오동나무와 다르게 푸른색 줄기가 있어 벽오동(碧梧桐)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오(梧:벽오동나무오)자는 이미 <벽오동나무오>자가 들어갔기 때문에 "오동나무"라는 말은 "벽오동"을 말한다. 중국이 원산으로 중국에서는 벽오동을 "오동(梧桐)"이라고 부른다. 종자를 오동자, 뿌리를 오동근, 나무껍질을 오동백피, 잎을 오동엽, 꽃을 오동화라고 부르며 모두 약용한다.

우리가 오동나무라고 부르는 것을 중국에서는 "동목(桐木)"이라고 부른다.

벽오동 종자를 오동자(梧桐子), 뿌리를 오동근(梧桐根), 나무 껍질을 오동백피(梧桐白皮), 잎을 오동엽(梧桐葉), 꽃을 오동화(梧桐花)라고 하여 모두 약용한다.

벽오동나무의 다른 이름은
오동[梧桐=
wú tóng=: 도홍경(陶弘景)], [, :梧: 이아(爾雅)], 청오[靑梧: 품휘정요(品彙精要)], 동마[桐麻, 표갱수:瓢羹樹: 초목편방(草木便方)], 이동[耳桐, 창동:蒼桐, 청피수:靑皮樹, 춘마:春麻, 구층피:九層皮, 백오동:白梧桐: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아오기리[アオギリ=青桐: 일문명(日文名)], 영수[靈樹], 군서가목[群瑞嘉木], 서금가목[瑞禽嘉木], 벽오동, 푸른오동나무, 벽오동나무, 청오동나무 등으로 부른다.

벽오동나무 열매 종자의 다른 이름은
오동자[梧桐子=
wú tóng zǐ=V: 이참암본초(履巉巖本草)], 표아과[瓢兒果, 동마완:桐麻豌: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벽오동열매 등으로 부른다.

벽오동나무의 뿌리를
오동근[梧桐根=
wú tóng gēn=: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오동강[梧桐: 영남민간초약(嶺南民間草藥)], 벽오동나무뿌리 등으로 부른다.

벽오동나무 껍질의 다른 이름은
오동백피[梧桐白皮=
wú tóng bái pí=바이: 본초도경(本草圖經)], 오동피[梧桐皮: 이참암본초(履巉巖本草)], 벽오동나무껍질 등으로 부른다.

벽오동나무 잎의 다른 이름은
오동엽[梧桐葉=
wú tóng yè=: 본초강목(本草綱目)], 벽오동나무잎 등으로 부른다.

벽오동나무 꽃의 다른 이름은
오동화[梧桐花=
wú tóng huā=후아: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벽오동나무꽃 등으로 부른다.  

[채취]


<종자>


<중약대사전>: "가을에 종자가 성숙하면 열매가 달린 가지를 잘라 종자를 떨어뜨려 체로 쳐서 불순물을 제거한 후 볕에 말린다. 건조한 곳에 보관하여 좀이 먹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뿌리>


<중약대사전>: "9~10월에 채취한다."

<꽃>


<중약대사전>: "여름에 채취한다."

[약재(藥材)]


<종자>


<중약대사전>: "말린 종자는 사각형이거나 원형에 가까우며 지름은 6~8mm이고 황갈색 내지 짙은 갈색이며 표면에 주름이 있고 그물 모양 무늬가 있다. 바깥층의 종자 껍질은 조금 취약해서 쉽게 파열된다. 안쪽 층의 씨껍질은 견고하고 탄성이 있으며 그것을 제거하면 안에 살이 두꺼운 연한 황색의 배젖이 있다. 자엽의 양편은 엷고 크며 배젖에 붙어 있고 배근(胚根)은 약간 좁은 쪽에 있다. 냄새와 맛은 모두 미약하다. 크고 알차며 갈색이고 잡질이 없는 것이 양품이다. 중국에서 주로 강소(江蘇), 절강(浙江)에서 산출된다. 감숙(甘肅), 하남(河南), 섬서(陝西), 광서(廣西), 사천(四川), 안휘(安徽) 등지에서도 난다."

[성분]


<종자>


<중약대사전>: "지방유 39.69%, 회분 4.85%, 조섬유 3.69%, 단백질 23. 32%, 비질소 물질 28.45%이고 caffeine이 들어 있다. 지방유 중에서 또 sterculic acid를 분리 추출하였다."

<나무껍질>


<중약대사전>: "나무 껍질은 수분 40.63%, 회분 2.69%, 조단백질 4.16%, 조지방 2.47%, 조섬유 25.14%, pentosan과 pentose 6.61%를 함유한다. 또 octacosanol, lupenone과 소량의 자당(蔗糖)을 함유한다. 나무 껍질로부터 침출한 점액질에는 galacton, pentosan, uronic acid, 단백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잎>


<중약대사전>: "betaine, choline, β-amyrin, β-amyrin acetate, β-sitosterol, hentriacontane, rutin 0.15%를 함유한다."

[약리작용]


<잎>


<중약대사전>: "잎의 추출물(먼저 물로 달이고 다음에 알코올로 처리하여 얻은 것) 0.25~1.5g/kg을 마취한 개 및 고양이에게 정맥 주사하면 혈압을 하강시킬 수 있는데 15분~1시간 지속된다. 그 강압 원리는 초보적 분석에 의하면 말초 혈관을 확장시키는 것(토끼 귀의 관류에서 경도로 확장되었다)과 관계가 있으며 혈압이 내려감과 동시에 심박수도 감소되었다(22.3%). 마우스에 대해서는 현저한 진정 작용이 있다(0.15g/kg을 복강 주사하면 그 자유로운 활동을 감소시킨다). 독성은 아주 작고 위에 6g/마리를 유입하여도 사망하지 않으며 정맥 주사의 LD50은 8.3g/kg이다."

[포제(
炮製)]

<꽃>


<중약대사전>: "흙, 부스러기를 체로 깨끗이 치고 잡질을 제거한 다음 볕에 말린다."

[성미]


<종자>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2, <본초강목>: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3, <본초재신>: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뿌리>


1, <초목편방>: "맛은 달다."

2, <중경초약>: "맛은 싱거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나무껍질>


<초목편방>: "맛은 달다."

<잎>


<복건민간초약>: "맛은 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꽃>


<광주민간, 상용중초약술책: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귀경(歸經)]

<종자>

<본초재신>: "심(心), 폐(肺), 신(腎)의 3경(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종자>

1, <중약대사전>: "기(氣)를 원활하게 하고 위(胃)를 조화시키며 소화를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다. 식상, 위통, 산기(疝氣), 소아 구창(口瘡)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소아 구창(口瘡)을 치료하는데 계란과 함께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서 갈아 바른다."

3, <수식거음식보>: "폐를 윤택하게 하고 열을 내리며 해독한다."

4, <남영시약물지>: "센불로 태워 가루내어 곪은 창(瘡)에 바르면 새살이 자라서 창구(瘡口)가 막힌다."

5, <사천중약지>: "기(氣)를 원활하게 하고 위(胃)를 조화시킨다. 위통을 치료한다."

6, <광주민간, 상용중초약수책>: "비(脾)를 튼튼히 하고 적체를 제거한다."

<뿌리>


1, <중약대사전>: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애고 기(氣)를 조화시키며 경락을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풍습성 관절통, 장풍(腸風), 하혈, 월경불순, 타박상을 치료한다."

2, <초목편방>: "혈(血)을 조화시키고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애며 경맥을 통하게 한다. 부인의 토혈, 월경불순, 요슬비통(腰膝痺痛)을 치료한다."

3, <영남채약록>: "매독성 골통이 있을 때에는 돼지고기와 함께  고아서 복용한다."

4, <중경초약>: "장풍하혈을 치료한다."

<나무껍질>


1, <중약대사전>: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애고 혈(血)을 잘 순환하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풍습비통, 타박상, 월경 불순, 치질, 단독(丹毒)을 치료한다."

2, <본초도경>: "치질을 치료한다."

3, <생초약성비요>: "새살이 돋아나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 혈(血)을 산(散)하고 비기(脾氣)를 서늘하게 하며 타박상에 바른다."

4, <본초구진>: "달인 즙으로 단독(丹毒), 악창, 충치(蟲痔), 탈항을 치료한다."

5, <초목편방>: "혈(血)을 조화시키고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애며 경맥을 통하게 한다. 부인의 토혈, 월경 불순, 요슬비통(腰膝痺痛)을 치료한다."

<잎>

1, <중약대사전>: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애고 열을 내리며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풍습 동통과 마비, 옹창(癰瘡) 종독, 치질, 염창(
瘡: 경부 궤양), 외상 출혈, 고혈압을 치료한다."

2, <중국수목분류학>: "달인 즙에 쐬면 백대하를 치료할 수 있다."

3, <귀주민간방약집>: "달인 즙에 쐬면 백대하를 치료할 수 있다."

4, <광주민간, 상용중초약수책>: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옹창종독(癰瘡腫毒)을 치료한다."

<꽃>


1, <중약대사전>: "수종, 독창(禿瘡), 화상을 치료한다."

2, <산해초함(山海草函)>: "나두(
癩頭), 화상을 치료한다."

3, <광주민간, 상용중초약수책>: "열을 내리고 해독한다."

[용법과 용량]


<종자>

<중약대사전>: "내복: 1~3돈을 물로 달여 복용하거나 갈아서 복용한다.

외용: 약성이 남을 정도로 센불로 태운 다음 가루내어 뿌린다."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신선한 것 1~2냥을 물로 달이거나 찧은 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잎>

<중약대사전>: "내복: 0.5~1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신선한 잎을 붙이거나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벽오동의 효능에 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오동엽(梧桐葉) //청오동나무잎// [본초]

청오동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청오동나무(Firmiana simplex Nak.)의 잎을 말린 것이다. 청오동나무(벽오동나무)는 우리나라 남부, 중부, 북부에서 심는다.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잎을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풍습(風濕)을 없애고 열을 내리며 해독한다. 약리실험에서 알코올추출액이 근육의 긴장도를 높이고 심장의 수축작용을 강하게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정신 및 육체적 피로, 병후쇠약에 쓰며 풍습으로 인한 통증, 마비, 부스럼, 치질, 창상출혈, 고혈압 등에도 쓴다.

하루 15~30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신선한 잎을 붙이거나 가루내서 기초제에 개어 바른다.

벽오동나무씨(오동자)는 소화장애, 위통, 산증(疝證), 소아구내염, 머리칼이 희어지는 등에 쓰는데 물로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벽오동나무꽃(오동화)은 부종, 화상에 쓴다.

벽오동나무뿌리(오동근)는 관절통, 부정자궁출혈, 월경부조, 타박상 등에 쓴다.
]

벽오동의 효능에 대해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 553면 706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오동자(梧桐子)

벽오동과의 갈잎큰키나무 벽오동(Firmiana simples {Linne} W. F. Wight)의 종자이다.

잎을 오동엽(梧桐葉), 뿌리를 오동근(梧桐根), 원줄기를 오동목(梧桐木)이라 한다.

성미: 오동자: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오동엽: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효능: 오동자: 순기(順氣), 화위(和胃), 소식(消食). 오동엽: 거풍제습(祛風除濕), 청열해독(淸熱解毒)

해설: 오동자는 ① 불결한 음식물을 먹고 일어난 복통, 설사에 사용하며, ② 흰머리에 하수오, 숙지황, 흑지마(黑芝麻: 검은참깨)와 같이 달여서 복용한다. 오동엽은 ① 풍습성(風濕性)으로 인한 사지마비동통을 풀어주고, ② 종기, 악창에도 유효하여, ③ 외상 출혈, ④ 고혈압에도 효험이 있다. 오동근은 ① 풍습성사지마비동통의 치료와 타박상에 활용되고, ② 장출혈에 지혈 작용을 보인다.

성분: 오동자는 지방유 39.69%, 회분 4.58%, 조섬유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오동엽에는 betaine, choline, β-amy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약물 달인 물을 마취시킨 개에게 정맥 주사 하면 혈압 강하 작용이 나타난다.

임상 보고: 고혈압 환자에게 생약 2g에 해당하는 약물을 1일 3회 약침제로 투여하자 효력이 있었다. 여성 환자를 치료한 후에 이뇨 작용이 현저하였다.]

벽오동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제 336면 41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벽오동[Firmiana simples (L.) W. F. Wight] [벽오동과]

갈잎큰키나무. 높이 15m 가량. 줄기 껍질은 푸른색이고, 작은 가지는 굵고, 어릴 때는 부드러운 별 모양의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지만 끝에서는 모여 난다. 꽃은 6~7월에 피며, 수꽃과 암꽃이 함께 달린다. 꽃받침은 긴 타원형으로 5개이고, 꽃잎은 없다. 수술은 수술대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1개의 통 끝에 10~15개의 꽃밥이 붙어 있다. 암술은 수술통 끝에서 서고 암술머리가 넓다. 열매는 5개의 분과로 되어 익기 전에 벌어져서 완두콩 같은 종자가 보인다.

분포/
중국 원산으로, 중부 이남에서 재식하는 귀화 식물이다.

채취/
종자를 여름과 가을에, 잎은 여름에 채취하여 말린다.

약효/
종자를 오동자(梧桐子)라고 하며, 순기(順氣), 화위, 소식(消食)의 효능이 있고, 상식(傷食), 산기(疝氣), 위통을 치료한다. 잎을 오동엽(梧桐葉)이라고 하며, 거풍, 제습, 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고, 류머티즘에 의한 동통, 마비, 고혈압을 치료한다.

사용법/
종자 10g에 물 700mL, 잎 30g에 물 1,2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벽오동 종자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7권 103면 3226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오동자(梧桐子)

기원: 오동과(梧桐科=벽오동과: Sterculiaceae)식물인 오동(梧桐=벽오동: Firmiana simplex (L.) W. F. Wight)의 종자(種子)이다.

형태: 낙엽 교목으로 높이가 15m이다. 잎은 어긋나며 심장상(心臟狀) 원형(圓形)이고 일반적으로 3∼5개의 장상열(掌狀裂)이 있으며, 잎가장자리는 전연(全緣) 혹은 미세한 물결모양이며, 뒷면에는 성상(星狀) 유모(柔毛)가 있고, 잎맥은 3∼5개가 열편(裂片)의 끝까지 뻗어 있다. 꽃은 작고 단성(單性) 혹은 잡성(雜性)인데 일반적으로 모여서 정생(頂生)하는 원추화서(圓錐花序)를 이루며, 꽃받침잎은 5장이고 꽃잎모양이며 황녹색(黃綠色)이고 난상(卵狀) 피침형(披針形)으로 길이가 1.7cm이며 바깥면은 담황색의 짧은 융모로 덮여있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10∼15개이고 꽃밥은 합하여 원주체(圓柱體)를 이루며 꽃받침잎과 길이가 같고, 암꽃에는 퇴화한 수술이 있으며 자방은 원구형(圓球形)이고 심피는 5개이다. 열매는 골돌과(蓇葖果)로 익기 전에 갈라져서 벌어지며, 종자는 구형(球形)이다.








[벽오동 열매와 종자, 속씨의 모습, 사진 출처: 중국본초도록 및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분포: 따뜻하고 습윤하며 토질이 비옥한 곳에서 자란다. 중국의 화북(華北), 화남(華南), 중남(中南), 서남(西南)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전라도 및 경상도에서 자라나 경기도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다.

채취 및 제법: 8∼9월에 열매가 익으면 따서 햇볕에 말리고 종자를 뺀다.

성분: fatty oils, coffein 등.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순기화위(順氣和胃), 소식(消食).

주치: 식상복사(食傷腹瀉), 위통(胃痛), 산기(疝氣). 외용(外用): 소아구창(小兒口瘡).

용량: 3∼9g. 외용(外用)으로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지(中藥誌), 3권, 574면.]

[벽오동과 봉황새, 가수 김도향, 사진출처: 네이버 이미지 검색]

벽오동을 생각하면 김도향(1945.5.3 ~ )이 부른 <벽오동> 노래 가사가 생각난다. 그 노래 가사를 기록하면 아래와 같다.

벽오동 심은 뜻은 봉황을 보잣더니
어이타 봉황은 꿈이었다 안오시뇨


하늘아 무너져라 와 뚜뚜뚜뚜뚜뚜뚜뚜뚜뚜
찬 별아 쏟아져라 카 뚜뚜뚜뚜뚜뚜뚜뚜뚜뚜


달 맞이 가잔 뜻은 님을 모셔 님을 모셔 가잠인즉
어이타 우리 님은 가고 아니 오시느뇨


하늘아 무너져라 와 뚜뚜뚜뚜뚜뚜뚜뚜뚜뚜
찬 별아 쏟아져라 카 뚜뚜뚜뚜뚜뚜뚜뚜뚜뚜


벽오동 심은 뜻은 봉황을 보잣더니
어이타 봉황은 꿈이었다 안오시뇨


하늘아 무너져라 와 뚜뚜뚜뚜뚜뚜뚜뚜뚜뚜
찬 별아 쏟아져라 카 뚜뚜뚜뚜뚜뚜뚜뚜뚜뚜


벽오동 심은 뜻은 봉황을 보잣더니
어이타 봉황은 꿈이었다 안오시뇨

김도향(1945.5.3 ~ 년)의 벽오동 노래 감상: 유튜브 동영상 바로가기

1,
http://youtu.be/KqmTZrfo46o [1970년 음성]

2,
http://youtu.be/IrlZxzmJUPY [1970년 음성]

3,
http://www.tagstory.com/100156166 [2009년 회고록 담화]


벽오동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종자>


1, 산기(疝氣)
벽오동씨를 향기가 나게 볶아서 껍질을 벗겨 복용한다. [귀주성중의험방비방(貴州省中醫驗方秘方)]

2, 상식복사(傷食腹瀉)
벽오동씨를 누렇게 볶아서 가루내어 매회 3.75g을 충복한다. [광주민간(廣州民間), 상용중초약수책(常用中草藥手冊)]

3, 흰머리를 검게하는데

벽오동씨 11g, 하수오 19g, 검은참깨 11g, 숙지황 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산동중초약수책(山東中草藥手冊)]

<뿌리>


4, 풍습성동통
신선한 벽오동뿌리 56g(말린 것은 30~40g)에 술과 물을 각각 절반씩 넣고 1시간 달여 복용한다. 돼지 족발 1개를 넣고 달이면 더욱 좋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5, 천식

벽오동나무뿌리 19~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광주민간(廣州民間), 상용중초약수책(常用中草藥手冊)]

6, 골절

벽오동뿌리껍질, 삼백봉(三百棒), 진천뇌(震天雷), 대혈등(大血藤)을 짓찧어 바르거나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7, 열림(熱淋)

거친 껍질을 제거한 벽오동나무뿌리를 짓찧어 쌀뜨물에 담가서 천으로 즙을 짜 흰설탕을 가하여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8, 종독

벽오동뿌리, 수동근(水桐根), 계화수근피(桂花樹根皮), 저마근(苧麻根)의 거친 껍질을 제거하고 짓찧어 환부에 바른다. 내복하여도 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잎>


9, 풍습골통, 외상에 의한 골절, 천식

벽오동잎 19~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광주민간(廣州民間), 상용중초약수책(常用中草藥手冊)]

10, 등에 발진하여 몹시 아픈 증상

벽오동잎을 쇠가마에 태워 재로 하여 비단체로 쳐서 꿀로 개어서 바르고 마르면 다시 바른다. [신흠시후방(神欠時後方)]

11, 배옹(背癰)

신선한 벽오동잎을 씻어서 은침(銀針)으로 빠짐없이 찔러 작은 구멍을 내어 식초에 담가서 잎 전체를 환부에 붙인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12, 치질

벽오동잎 7개, 유황(硫黃) 5푼을 물과 식초 같은 양으로 달여 먼저 환부를 쐬인 다음 씻는다. [복주태강구(福州台江區), 험방휘집(驗方彙集)]

13, 염창(
瘡)
신선한 벽오동잎을 깨끗이 씻고 은침(銀針)으로 빠짐없이 찔러 구멍을 내고 쌀을 끓인 물이나 더운 물에 담가서 잎 전체를 환부에 붙이는데 1일 2회 바꾸어 준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14, 칼에 베인 상처 출혈

벽오동잎을 곱게 가루내어 상처에 바른다. [복주태강구(福州台江區), 험방휘집(驗方彙集)]

15, 설사가 멎지 않는 증상

벽오동잎을 그 양에 상관없이 10여 변 끓여 달인 후 두 발의 발뒤축만 씻으면 설사가 즉시 멎는다. 단, 위쪽을 씻으면 변비가 된다. [내경습유방론(內經拾遺方論), 오동탁족탕(梧
濯足湯)]

16, 고혈압
(임상보고)
1기, 2기의 고혈압 환자 80례의 치료에서 5례는 벽오동잎 시럽을 1회 10ml(마른 생약 2g에 해당), 1일 2회 내복하고 28례는 내복 외에 벽오동잎의 주사액을 1일 2ml(플라보노이드 배당체 20mg을 함유)씩 근육 주사하였다.

2개월의 치료를 거쳐 현효(이완기 혈압이 2mmHg 이상 하강)가 23례였고 호전(10~20mmHg 하강)이 37례였으며 무효(하강 10mmHg 이하)가 20례였다. 치료 전후 60례의 환자에 대하여 혈청 콜레스테롤 검사를 진행하여 대조하였는데 치료 전의 혈청 콜레스테롤의 평균치는 249.5mg%였고 치료에서 현저히 하강(50mg% 이상)한 병례는 41례로서 72%를 차지한다. 치료 초기에 오심, 위의 불쾌감, 복통, 복부 창만의 소화기 반응이 보였다.

그 외에 벽오동잎의 정제(마른 엑스트랙트 분말의 정제로서 1정은 마른 생약 2g에 상당한다. 1일 3회, 1회 3~4정 복용)로 치료하여 고혈압의 치료 및 혈청 콜레스테롤 상태를 관찰한 결과 100례에서 2개월 후 강압 총유효율은 86%였고 그 중 현효율은 10%였다. 혈청 콜레스테롤의 하강률은 80%였다. 그 중 21mg% 이상 하강한 병례는 69%였고 50mg% 이상 하강한 병례는 31%를 차지했다.

임상에서 관찰한 결과 일부 비대형 고혈압증 여성환자는 약을 쓴 후 비교적 뚜렷한 이뇨 작용이 있었으며 월경이 증가되고 체중이 경감되었다. 그러나 혈청 콜레스테롤의 하강은 뚜렷하지 않았고 일부분 환자는 오히려 상승하는 예도 있었다. 그 원인에 대하여서는 더욱 진보된 연구가 요구된다. [중약대사전]

<꽃>

17, 수종
마른 벽오동꽃 11~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광주민간(廣州民間), 상용중초약수책(常用中草藥手冊)]

우리나라에서 벽오동을 중국에서는 '오동(梧桐)'이라고 부르며
우리가 오동나무라고 부르는 것을 중국에서는 "동목(桐木)"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나무를 동목, 잎을 동엽, 뿌리껍질을 동근, 열매를 포동과, 꽃을 포동화라고 부르며 모두 약용한다. 

중국의 의서에 오동씨만한 환을 짓는다고 할 때도 '벽오동씨'만한 환을 짓는 것으로 풀이해야 정확하다.

중국에서는 벽오동을 오동이라 부르며 귀하게 여기는데, 최영전의
<한국민속식물>에서는 "중국 전설에서는 벽오동을 영수(靈樹), 군서가목(群瑞嘉木)이라고도 부른다. 그래서 길조인 봉황새는 벽오동나무에서만 살면서 대나무 열매만 먹었다고 하여 군왕을 축복하는 서금가목(瑞禽嘉木)으로 존중하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벽오동나무는 줄기가 푸르러 보기에도 눈을 시원하게 한다. 가을에 혀처럼 생긴 꽃에 매달려 있는 열매를 따먹으면 맛이 고소하고 먹을 만하여 어린이들이 따먹기도 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참조: 아래에 누구나 프린터할 수 있는 아래한글 문서입니다. '주는 것이 받는 것 보다 더 행복하다'는 취지를 실천하기 위한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입니다. 경제적인 부담(종이값, 잉크, 토너 비용 등)이 되신다면 아래의 문서를 각자의 컴퓨터 및 기타 저장매체에 담아 놓고 볼 수 있습니다. 소중한 자원낭비가 되지 않기 위하여 프린터하기 전에 한번더 개인적으로 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 모두도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이 주어서 더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아래한글문서 13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1, 벽오동나무 무엇인가?

아래한글문서 1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2, 벽오동나무 무엇인가?

벽오동 사진 감상: 1, 2, 3, 4,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벽오동 상세 사진 일본웹사이트: 1, 2, 3, 4, 5, 6,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
naver.com ; jdm0777@hanmail.net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노나무(개오동나무) 무엇인가?
  2. 벽오동나무 무엇인가?
  3. 오동나무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벽오동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