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장나무(만호퇴자) 무엇인가?

잎이 긴 타원형으로 좁고 뒷면에 적갈색 비늘털이 있는 보리장나무

 

 

 

 

 

 

 

 

 

 

 

 

 

 

[보리장나무의 어린잎, 자란 잎 앞면, 잎 뒷면, 잎뒷면 적갈색 비늘털 확대, 적갈색 얼룩무늬 꽃봉오리, 만개한 꽃, 덜익은 열매, 붉은색으로 익은 열매, 종자, 적갈색 겨울눈, 가시가 달린 어린 가지, 작은 혹이 붙은 나무껍질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평천 작용, 장염에 의한 하리, 청열이습, 해수, 임병, 붕대, 렴제, 이질, 지갈, 복사, 과식, 정원수, 식용, 공업용, 관상용, 약용, 지사, 고장, 해열, 지혈, 임질, 설사를 다스리는 보리장나무

보리장나무는 보리수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만목 즉 덩굴성 늘푸른잎나무이다.

보리장나무의 학명 및 이명은 <
Elaeagnus glabra Thunb. 1857 ; Elaeagnus paucilepidota ; Elaeagnus longidrupa ; Elaeagnus tenuiflora ; Elaeagnus buisanensis ; Elaeagnus erosifolia ; Elaeagnus glabra subsp. oxyphylla ; Elaeagnus glabra subsp. tenuiflora>이다. 높이는 2m 가량이며, 줄기에는 가시가 있다. 잎은 긴 타원형으로 두껍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을 하고 있으며, 표면은 녹색으로 윤이 나고 뒷면은 은색의 비늘조각이 빽빽하게 나있다. 나무껍질은 흑회색이고 오래될수록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어린 가지와 겨울눈은 적갈색의 비늘털로 덮여 있다. 꽃은 흰색으로, 11월경에 2-3개의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열매는 긴 타원형의 액과이며, 비늘털이 퍼져 있으며 다음해 3-5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데 약간 떫고 단맛이 난다. 씨는 긴 타원형이고 능선이 있다.

주로 해안의 따뜻한 곳에서 자라는데,
중국, 일본, 타이완, 한국에 분포하는데 한국에서는 특히 전라남도의 서남해 도서 지역과 제주도의 산지 또는 숲 가장자리에 분포한다. 보리장나무의 유래는 전남 방언으로 보리수나무나 보리밥나무에 견주어 부르는 이름으로 추정된다.

보리수나무과는 북아메리카, 동아시아, 유럽, 말레이시아에 3속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속이 자란다. 전세계적으로 약 6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속 6종에 3변종이 자란다. 

원산지가 일본인 '뜰보리수나무'는 개화기가 4~5월이고 결실기는 6~7월인데, 열매가 더크고 단맛이 더 난다.

우리나라에 자라는 보리수나무 중에 남해안 및 제주도에 나는 잎이 지지않는 상록성 보리수나무를 이렇게 부른다. <보리장나무, 덩굴볼레나무, 볼레나무, 가는잎보리장나무, 좁은잎보리장나무, 보리밥나무, 봄보리똥나무, 봄보리수나무, 녹보리똥나무, 통열볼레나무, 왕볼레나무, 큰보리장나무, 왕보리장나무, 제주보리수나무>
보리수나무 가운데 잎이 떨어지는 낙엽성 보리수 나무를 이렇게 부르기도 한다. <보리수나무, 볼네나무, 보리화주나무, 보리똥나무, 왕보리수나무, 긴보리수나무, 긴보리수나무, 민보리수나무>

[<보리장나무, 보리밥나무, 큰보리장나무, 통영볼레나무, 녹보리똥나무 구별법>]


1,
보리장나무(
Elaeagnus glabra Thunb. 1857)는 보리합나무에 비해 잎이 긴 타원형으로 좁은 편이고 뒷면과 꽃받침통에 적갈색 비늘털이 밀생하는 점이 다른다. 보리밥나무와의 중간형인 것도 발견된다.

2,
보리밥나무(
Elaeagnus macrophylla Thunb.)는 보리장나무에 비해 잎이 둥근 난상으로 넓고 뒷면의 꽃받침통에 은백색의 비늘털이 밀생하는 점이 다르다.

3,
큰보리장나무(
Elaeagnus submacrophylla Servett.)는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Thunb.)와 통영볼레나무(Elaeagnus pungens Thunb.)의 잡종이다. 보리장나무(Elaeagnus glabra Thunb.)에 비해 잎 뒷면이 은백색이고 갈색 점이 있으며 가지는 적갈색이므로 구분된다.

4,
통영볼레나무(E
laeagnus pungens Thunb.)는 통영시 미륵산 용화사 근처에서 보리수나무과에 속하는 미기록 분류군인 통영볼레나무(Elaeagnus pungens Thunb.)가 발견되었다. 이 분류군은 중국과 일본 원산으로, 북아메리카에는 도입되어 분포하고 있다. 근연 분류군인 보리장나무(Elaeagnus glabra)와 비교하여 경침이 존재하며, 엽연은 파상형으로 뒤로 젖혀지고, 잎 뒷몃은 은백색 인모에 드물게 갈색 인모가 있으며, 꽃받침통은 종형의 형태를 가진다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5,
녹보리똥나무(E
laeagnus pungens)는 제주도와 대흑산도 및 완도에서 자라는 상록덩굴식물로 보리밥나무와 보리장나무의 잡종이다. 잎은 긴 타원형으로 보리장나무보다 더 크며, 뒷면이 갈색 털로 덮여 있다. 꽃은 9~10월에 은백색으로 피고, 열매는 5~6월에 붉은색으로 익어서 먹을 수 있다.

보리장나무의 여러 가지 이름은
만호퇴자[蔓胡頹子=màn hú tuí =투이V: 광서약식명록(廣西藥植名錄)], 첨봉추[甜棒錘, 포퇴자:蒲頹子: 광주부태(廣州部隊), 상용중초약수책(常用中草藥手冊), 본초강목(本草綱目)], 포군자[抱君子, 계향류:桂香柳: 중국고등식물도감(中國高等植物圖鑑)], 장밀수[薔蔤樹, 반춘자:半春子, 의오:疑吳: 광주공군(廣州空軍), 상용중초약수책(常用中草藥手冊)], 양내과[羊奶果, 의독:擬獨, 양내내:羊奶奶, 우내자:牛奶子, 등호퇴:藤胡頹, 삼일황자:三日黃子, 대무호퇴자:大武胡頹子, 양내자:羊奶子, 양모내자:羊母奶子, 등호퇴자:藤胡頹子, 이환과:耳環果, 사당관:砂糖罐, 사은등:痧銀藤, 백면장군:白面將軍, 가두엽:加豆葉, 등목사:藤木楂, 시과:柿果, 백첨포:白甜蒲, 기호:旗糊, 정종수:頂鍾樹, 미의오:米疑吳: 백도백과(百度百科), 유기백과(维基百科), 에+의학백과(A+醫學百科)], 월프 윌로우[Wolf willow, 어베러컨 실버 베어리:Aberican silver berry, 프룻 어브 글래브러스 일레이이그너스:Fruit of Glabrous Elaeagnus: 영명(英名)], 츠루구미[つるぐみ=Turugumi=蔓茱萸, 히구미:ヒグミ, 모로나리:モロナリ: 일문명(日文名)], 보리장, 보리장나무, 덩굴볼레나무, 볼네나무, 덩굴보리수나무, 볼레나무 등으로 부른다.

보리장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제 340면 41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보리장나무

과명/ 보리수나무과

학명/ Elaeagnus glabra Thunb.

늘푸른떨기나무. 꽃은 연한 황색으로 10~12월에 잎겨드랑이에 2~3개씩 모여 핀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비늘털로 덮여 있으며, 다음 해 4~5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분포/ 제주, 전남의 바닷가에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약효/ 열매를 만호퇴자(蔓胡頹子)라고 하며, 수렴, 지사의 효능이 있고, 장염에 의한 하리를 치료한다. 잎을 만호퇴자엽(蔓胡頹子葉)이라하며, 청열이습, 지혈의 효능이 있고, 해수, 이질, 임병, 붕대(崩帶)를 치료한다.

성분/ 잎에는 알칼로이드(alkaloid),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쿠마린(coumarin)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잎 달인 액을 기니 피그에 투여하면 평천(平喘) 작용이 있다.

사용법/ 열매와 잎 각각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보리장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한미허브연구소에 펴낸
<원색세계약용식물도감> 제 382면 1066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보리장나무

과명:
보리수나무과
학명:
Elaeagnus glabra Thunb.
영명:
Wolf willow ; Aberican silver berry
일명:
츠루구미[つるぐみ=Turugumi=蔓茱萸]

상록 활엽 만목이다.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밑은 둔탁하고 끝은 뾰족하다. 엽연은 파상으로 굽고 뒷면은 구리빛 인편이 밀포한다. 꽃은 2~3개가 액생하여 쳐져서 11월 개화한다. 과실은 장과로 타원형으로 다음 해 4~5월에 붉게 익는다.

분포:
제주, 전남의 바닷가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약효:
수렴제, 이질, 설사, 장염, 해열, 지혈, 임질을 치료한다.

사용법:
과실, 잎 각각 20g을 물 1리터로 달여 하루 2~3잔 마신다. 임질 치료에는 과실, 잎 각각 30g을 물 1리터로 달여 국부에 주입 세척한다.]


보리장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한국식물대보감> 상권, 제 700면 244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보리장

자원구분:
과식(果食), 정원수(庭園樹), 식용, 공업용, 관상용, 약용.

효능:
지사(止瀉), 지혈(止血), 고장(固腸).

이용 부위:
열매.

독성:
없음.]

보리장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의 <에+의학백과(A+醫學百科)>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만호퇴자(蔓胡頹子)

채취: 봄철 채취한다.

성미: <광주부대, 상용중초약수책>: 맛은 시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광주부대, 상용중초약수책>: 수렴(收斂), 지갈(止瀉), 장염(腸炎), 복사(腹瀉)를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3~6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보리장나무의 효능과 관련하여 <제주환경일보> 2016년 3월 3일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제주 설사치료제, 보리장나무를 아시나요?"

생물자원관 잊혀진 선조들의 생물자원 지혜 요약정리 발간

 

[<보리장나무(Elaeagnus glabra Thunb.)의 꽃(왼쪽)과 열매(오른쪽)>]

'보리장나무'가 조선시대 제주 지역에서
설사 치료제로 쓰였다는 전통지식 등 지금은 잊혀진 선조들의 생물자원 활용 지식을 알기 쉽게 요약 정리한 책이 나왔다.

3일 국립생물자원관(관장 김상배)은 정종우 이화대 교수팀과 함께 조선시대 문헌에 수록된 우리 생물의 옛 이름과 생물을 활용한 지식을 요약하여 정리한 ‘해제로 보는 조선시대 생물자원’ 4권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해제(解題)란 책의 저자, 내용, 체재 등에 대해 간단히 요약 정리한 것.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Thunb.)의 꽃(왼쪽)과 열매(오른쪽)>]

이 책은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조선시대에 발간된 고사십이집‧농사직설(농서), 구급간이방‧향약집성방(의서), 삼재도회‧광재물보(유서) 등 옛 문헌 94종에 수록된 우리 생물의 옛 이름과 생물을 활용한 전통지식을 요약 정리하여 수록했다.

유서(類書)는 백과사전과 비슷한 책으로 사물을 분류하고 필요에 따라 설명을 추가하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 책을 통해 잊혀져가는 선조들의 생물자원과 관련된 전통지식을 현대 사회에서 다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책에서 가장 눈여겨 볼만한 전통지식은 이형상(1653~1733)의 ‘남환박물’에서 소개된 ‘설사를 치료하는데 쓴다’는 ‘보리실(菩提實)’과 관련된 기록이다.

남환박물(南宦博物)은 이형상이 제주 목사에 재임할 당시(1702.3.~1703.6.) 제주도의 자연환경, 역사, 풍속 등을 상세하게 관찰하고 기록한 책이다.

국립생물자원관과 정종우 교수팀은 ‘남환박물’에 서술된 ‘보리실’의 모양새와 열매 결실시기, 지리적인 분포 등을 분석해 이 식물이 ‘보리장나무’를 일컫는 것으로 추정했다.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Thunb.)의 꽃(왼쪽)과 열매(오른쪽)>]

현재 제주지역에서 ‘보리장나무’의 열매가 간식거리로만 여겨지는 것으로 비춰볼 때, 이는 보리장나무 열매를 설사 치료제로 쓰던 옛 전통지식이 단절된 것으로 보인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보리장나무의 사촌격인 보리수나무와 보리밥나무도 설사 치료제로 쓰일 수 있는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이를 통해 옛 문헌 속의 지혜를 통해 다른 생물자원에서도 유용한 결과를 밝혀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영릉향(零陵香)은 기침, 치통 등을 치료하는 약용식물로 세종실록지리지(1452~1454년), 신증동국여지승람(1530년), 탐라지(1653년), 남환박물(1704년) 등에 조선시대 제주지역의 특산물로 기록되어 있다.

현재 한의학에서는 영릉향을 중국 원산의 앵초과 참좁쌀풀속 식물인 리시마치아(Lysimachia foenum-graecum Hange)로 인식하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옛 문헌 속에서 언급된 영릉향이 중국에서 들여와 제주에서 재배한 식물이기 보다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섬까치수염(Lysimachia acroadenia Max.)을 일컫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 밖에 ‘해제로 보는 조선시대 생물자원’에는 현재 옥수수, 벼, 김의 옛 이름인 옥촉촉(玉薥薥), 도자(稻子), 태(苔) 등을 소개하고 있다.

오경희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생물활용과장은 “우리나라 옛 문헌에 나타난 생물의 이용에 관한 전통지식은 생물주권의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무한한 활용 가치를 재조명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발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우리나라 옛 문헌에 실린 생물자원과 선조들의 지혜를 꾸준히 찾아내고 과학적 검증단계를 거쳐, 우리나라 생물산업에서 유용하게 쓰일 기초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
해제로 보는 조선시대 생물자원'은 국립생물자원관 누리집(www.nbir.go.kr) 생물다양성 이북(E-book) 코너에서 볼 수 있다.

남환박물(南宦博物)에 등장하는 보리장나무 관련

보리장나무(Elaeagnus glabra Thunb.)


❍ 분류정보

-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 보리수나무속(Elaeagnus L.)

❍ 분포

- 우리나라 전라남도와 제주도에 자생. 대만, 일본, 중국에 분포

❍ 생태 및 형태

- 상록수로 꽃은 10~12월에 피며, 다음해 4~5월에 열매를 맺는다.

- 잎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으로 마주나며, 길이는 4~8cm, 폭은 2.5~3.5cm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둔한 물결 모양으로 굴곡이 있으며, 잎자루에 적갈색 비늘털이 있다.

❍ 이용 및 활용

- 주로 열매를 먹는다.

❍ 근연종

-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Thunb.)

낙엽수로 봄에 개화하고, 가을에 열매 결실을 맺는다. 제주도를 포함한 중부 이남 분포 한다.

-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Thunb.)


상록수로 가을에 개화하고 봄에 열매 결실을 맺는다. 황해도 이남과 울릉도에 분포한다.

❍ 기타

- 인도 보리수나무(
Ficus religiosa)

-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고행했던 이야기에 등장하는 보리수는 중국 남부 및 동남아시아 열대 지역 분포하는 뽕나무과의 무화과나무류(Ficus religiosa)이며, 이 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자랄 수가 없어 사찰 등에서는 중국 원산의 피나무과 보리자나무(Tilia miqueliana Maxim.)를 심고 있다.]

보리장나무는 남해안 지방과 특히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늘루른 덩굴나무로서 겨울에도 푸른 잎은 반들반들한 질감으로 깨끗한 느낌을 준다. 특히 잎 표면은 은백색이지만 어린 가지와 잎 뒷면이 <적갈색> 털로 덮여 있는 것이 보리밥나무와 크게 다른 점이다. 가을에 피는 꽃과 어린 열매도 모두 황백색으로 꽃피는 시기는 9~10월로 보리밥나무보다 사도 빠른다. 어린 열매는 은갈색 털에 덮여 있다. 제주 지역에서는 먼 옛날 조선 시대에부터 약용으로 <설사 치료제>로 활용되어 왔다는 것은 우리 조상들의 놀라운 슬기에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보리장나무사진 감상: 1, 2, 3, 네이버+구글+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보리장나무 상세 사진 일본 웹사이트: 1, 2, 3, 4, 5, 6, 7, 8,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시기 바랍니다.

 

 

  1. 낚시찌바링토니아(빈옥예) 무엇인가?
  2. 대포알나무(포탄수) 무엇인가?
  3. 뜰보리수(목반하) 무엇인가?
  4. 보리밥나무(대엽호퇴자) 무엇인가?
  5. 보리수나무(호퇴자) 무엇인가?
  6. 보리자나무(남경단) 무엇인가?
  7. 보리장나무(만호퇴자) 무엇인가?
  8. 부겐빌레아 무엇인가?
  9. 인도보리수(보리수) 무엇인가?

 

 

※ 아래에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다운로드한 보리장나무 & jdm 필자가 찍은 보리장나무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