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비추의
잎, 꽃,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소변불통,
창독, 화상, 인후염, 열이 있으면서 소변을 잘 못 보는 증상, 종기,
창진, 뱀에 물린 데, 림프절염, 유방염, 소종,
해독, 지혈, 나력, 봄나물용, 목 안에 가시가 걸린 것, 인후종통을 다스리는 비비추
비비추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비비추의
학명은
<Hosta longipes>이다. 산지의 냇가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란다. 높이 30∼40cm이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아서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8∼9맥이 있다.
꽃은 연한 자줏빛으로
7∼8월에 피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달리며 꽃줄기는 길이 30∼40cm이다.
포는 얇은 막질이고 자줏빛이 도는 흰색이며 작은꽃자루의 길이와 거의
비슷하다. 화관은 끝이 6개로 갈라져서 갈래조각이 약간 뒤로 젖혀지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다. 종자는 검은색으로서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연한 순을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야생종은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비비추는 원예종으로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외국에서
정원식물로 인기가 높다.
하지만
북한에서 <비비추(Hosta rectifolia Nakai)>라고
부르는 식물은 학명을 그대로 따서 <렉티폴리아비비추>라고도
부른다. 남한에서 <비비추(Hosta longipes)>라고
부르는 식물과는 약간 다른 식물이다. 중국에서는 남한의 비비추를 가리켜
<장병옥잠(長柄玉簪:
Hosta longipes (Fr. & Sav.) Matsum.>이라고 부르고 있다.
비비추와
옥잠화는 같은속의 식물로서 꽃의 색과 잎의 특징이 다르기는 하지만
거의 비슷하게 생겼다. 최근에는 매우 다양하고 잎에 무늬가 들어간
종류까지 끊임없이 원예종이 개발되어 자세히 관찰해 보지 않으면 분별하기가
더욱 어려운 식물중에 하나이다. 효능도 비슷하여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비비추의
여러 가지 이름은 장병옥잠[長柄玉簪=cháng
bǐng yù zān=창↗삥V위↘짠 ̄:<Hosta longipes (Fr. & Sav.) Matsum.>,
직엽옥잠:直葉玉簪=zhí
yè
yù
zān=즈↗예↘위↘짠 ̄:<Hosta rectifolia Nakai>:
중국명(中國名)], 이와기보우시[イワギボウシ=岩擬宝珠:
일문명(日文名)], 렉티폴리아비비추[북한말],
비비추
등으로 부른다.
※
참조: 옥잠화의 종류를 중국에서 39가지로 분류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Hosta albo-marginata (Hook.) Ohwi[금변백화옥잠(金邊白花玉簪)]
2, Hosta capitata Nakai [두화옥잠(頭花玉簪), 일본잡교옥잠(日本雜交玉簪)=일월비비추(한국)]
3, Hosta cathayana A. Gray [중국옥잠(中國玉簪)]
4, Hosta clausa Nak. var. normalis Arb. [폐합옥잠(閉合玉簪)=참비비추(한국)]
5, Hosta coerulea Tratt. [남엽옥잠(藍葉玉簪)]
6, Hosta crispula F. Maek. [추엽옥잠(皺葉玉簪)]
7, Hosta decorata L. H. Bailey [둔엽옥잠(鈍葉玉簪)]
8, Hosta decorata L. H. Bailey var. normalis Stearn [상태옥잠(常態玉簪)]
9, Hosta elata Hyl. [고총옥잠(高叢玉簪)]
10, Hosta fluctans Maek. [파옥잠(波玉簪)]
11, Hosta fortunei (Baker) Bailey [협엽옥잠(狹葉玉簪)]
12, Hosta fortunei (Baker) Bailey 'Aurea' [금엽협엽옥잠(金葉狹葉玉簪)]
13, Hosta gracillima F. Maek. [세약옥잠(細弱玉簪)]
14, Hosta hypoleuca Murata [백배옥잠(白背玉簪)]
15, Hosta kikutii Maek. [잡교옥잠(雜交玉簪)]
16, Hosta kiyosumiensis Maekawa [청주옥잠(清洲玉簪)]
17, Hosta lancifolia Engl. [동북옥잠(東北玉簪), 일본옥잠(日本玉簪)]
18, Hosta longipes (Fr. & Sav.) Matsum. [장병옥잠(長柄玉簪)=비비추(한국)]
19, Hosta longissima Maekawa [극장옥잠(極長玉簪)]
20, Hosta minor (Bak.) Nak. [소옥잠(小玉簪)]
21, Hosta montana F. Maekava [산지옥잠(山地玉簪)]
22, Hosta montana F. Maekava 'Aureomarginata' [금변산옥잠(金邊山地玉簪)]
23, Hosta nigrescens (Mak.) Maek. [변흑옥잠(變黑玉簪)]
24, Hosta plantaginea Aschers. [옥잠(玉簪)=옥잠화(한국)]
25, Hosta plantaginea Aschers. 'Grandiflora' [대화옥잠(大花玉簪)]
26, Hosta rectifolia Nakai [직엽옥잠(直葉玉簪)=비비추(북한)]
27, Hosta sieboldiana (Hook.) Engl. & Prantl [원엽옥잠(圓葉玉簪)]
28, Hosta sieboldiana (Hook.) Engl. & Prantl 'Frances Williams' [원엽옥잠(圓葉玉簪), 불안사위염사(弗蘭思威廉斯)]
29, Hosta sieboldiana Engl. 'Elegans' [수려원엽옥잠(秀麗圓葉玉簪)]
30, Hosta sieboldii (Paxton) Ingram [사씨옥잠(斯氏玉簪)]
31, Hosta sieboldii (Paxton) Ingram f. spathulata (Miq.) W. G. Schmid [시엽사씨옥잠(匙葉斯氏玉簪)]
32, Hosta sieboldii Ingram. 'Albomarginata' [백변사씨옥잠(白邊斯氏玉簪)]
33, Hosta takudama F. Maek. [옥잠(玉簪)]
34, Hosta tardiana Hort. 'Halcyon' [취조옥잠(翠鳥玉簪)]
35, Hosta tokudama Maekawa [일본남엽옥잠(日本藍葉玉簪)]
36, Hosta tokudama Maekawa 'Aureonebulosa' [금엽남엽옥잠(金葉藍葉玉簪)]
37, Hosta ventricosa (Salisb.) Stearn 'Aureomarginata' [금변자악(金邊紫萼)]
38, Hosta ventricosa (Salisb.) Stearn [자악(紫萼)]
39, Hosta venusta F. Maek. [수려옥잠(秀麗玉簪)]
옥잠화
및 비비추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
제 196면 220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옥잠화(玉簪花)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옥잠화[Hosta plantaginea Aschers], 비비추[Hosta longipes
(Fe. et Sav.) Matsumura], 좀비비추[Hosta minor (Bak.) Nakai], 참비비추[Hosta
clausa Nakai var. normalis F. Maekawa], 일월비비추[Hosta capitata
(Koidz.) Nakai], 주걱비비추[Hosta clausa Nakai]의 꽃, 잎, 뿌리이다.
성미: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인후종통(咽喉腫痛), 소변불통(小便不通), 창독(瘡毒), 화상(火傷).
해설:
꽃은 ① 약성이 서늘해서 인후염에 쓰고, ② 열이 있으면서 소변을
잘 못 보는 증상에 쓰인다. ③ 창독(瘡毒)과 화상에는 짓찧어 붙인다.
잎은 종기와 창진(瘡疹), 뱀에 물린 데 짓찧어 붙이며, 뿌리는 종기와
림프절염, 인후염에 활용된다.
임상보고:
① 화상에 잎을 짓찧어 참기름에 2개월간 담갔다가 창상 면에
하루 2회씩 바르자 5~10일 후 완쾌되었다. ② 유방염, 창독, 뱀에 물린
데 짓찧어 붙인다.]
비비추의
효능에 관하여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803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비비추(Hosta
rectifolia Nakai)
식물: 높이 20~3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넓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여름철에 보라발간 꽃이 핀다.
각지 산지대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성분: 전초와 씨에
사포닌(기토게닌)이 있다.
응용: 민간에서 잎즙을 젖앓이와 중이염,
잎의 기름 추출물을 만성 피부궤양, 뿌리즙을 림프절결핵, 꽃의 기름
추출물을 상처에 바르거나 붙인다. 독성이 있어 먹지 않는다.
여러해살이풀.
꽃은 백색으로 8월에 핀다. 열매는 삭과, 삼각상 원주형, 길이 6.5cm,
지름 7~8mm로 밑으로 처지고, 종자의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분포/
중국 원산으로, 전국에서 재배하는 귀화식물이다.
약효/
뿌리를 옥잠화근(玉簪花根)이라고 하며, 소종(消腫), 해독, 지혈의 효능이
있고, 나력, 인종(咽腫), 목 안에 가시가 걸린 것을 치료한다.
사용법/
뿌리 20g에 물 8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거나 짓찧어서 즙을 내어 복용한다.]
우리나라
산속에서 자라는 비비추는 봄철에 잎을 나물로 먹는데, 연한 잎을 채취하여
살짝 데쳐서 양념으로 무쳐 먹으면 맛이 달착지근하고 부드러워서 쓴맛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먹기에 좋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이나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외래교수 전동명)
※ 비비추 사진 감상:
1,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