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남천 무엇인가?

관상용으로 공원 및 화단에서 가꾸는 인기있는 뿔남

 

 

 

 

 

 

 

 

 

 

 

 

 

 

 

[뿔남천의 봄철 푸른잎, 노란잎, 붉은잎, 꽃봉오리, 꽃, 꽃근접 사진, 열매, 종자, 나무껍질의 모습, 사진출처: jdm 직접 촬영 및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청열보허, 지해화담, 열을 내리는데, 허로[허를 보양하는데], 기침을 멎게 하는데, 콩팥을 튼튼하게 하는데, 가래를 삭이는데, 풍화에 의한 치경종과 치통, 황달, 소아 간열, 폐열, 창양종독, 유행성 감기,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결막염, 치통과 치은홍종, 관절풍습, 타박상, 정창염종, 염창, 유행성감기[임상보고], 설사[임상보고], 안검녹염[임상보고], 습열황달, 습열임탁, 풍열 목적종통, 산욕열, 두훈이명, 관절염의 통증, 옹종창독, 폐결핵에 의한 해혈, 골증조열[폐결핵 환자 등의 조열], 허리와 다리가 나른하고 아파서 기운이 없는 증세, 심번, 기침, 토혈, 폐결핵, 기생충을 구제, 청량성 자양 강장제, 조열, 골증, 요통, 슬무력, 현훈, 화를 사하는데, 온병에 의한 발열, 습열에 의한 하리, 옹종 창독, 폐결핵해혈, 발소, 두훈, 이명, 요산퇴연, 심번, 목적[적안]을 다스리는 남천 .

뿔남천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상록관목이다.

뿔남천의 학명은 <Mahonia japonica>이다. <대만남천죽>이라고도 한다. 중국 및 타이완산을 관상용으로 가꾸고 있다. 높이 13m이다. 다소 가지가 갈라지고 나무껍질은 코르크질이다.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 모여 달리고 1회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딱딱하고 가장자리에 바늘같이 뾰족한 톱니가 있다. 또한 표면은 녹색으로 윤기가 있고 겨울에는 홍색빛을 띤 갈색으로 변한다. 잎자루 밑부분이 턱잎으로 둘러싸진다.

꽃은 34월에 피고 노란색이며 밑으로 처지는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고 910월에 자줏빛을 띤 검은색으로 익으며 겉에 분 같은 가루가 있다. 종자, 꺾꽂이, 뿌리나누기 등으로 증식시킨다.

잎이 큰 뿔남천과는 다르게 잎이 좁은 <가는잎뿔남천>도 존재한다.

※ 참조:
중국에서는 아래의 뿔남천 4가지 종류를 함께 약용하고 있다.

1-
십대공로엽[Mahonia bealei (Fort.) Carr.=十大功勞葉: 본초재신(本草再新)], 공로엽[功勞葉: 음편신참(飮片新參)], 활엽십대공로[闊葉十大功勞, 자황벽:刺黃檗, 대엽황백:大葉黃柏, 황백수:黃柏樹, 피씨황련죽:皮氏黃蓮竹, 노서자:老鼠刺: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산비탈이나 관목림속에서 자라며 재배도 한다. 중국의 남부, 중부 및 화동 등지에 분포한다.

2-
세엽십대공로[Mahonia fortunei (Lindi.) Fedde.=細葉十大功勞, 묘아두:猫兒頭, 도과산수:刀瓜山樹, 황천죽:黃天竹, 협엽십대공로:狹葉十大功勞: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산비탈의 관목림 속에서 자라며 재배도 한다. 중국의 사천, 호북 및 절강 등지에 분포한다.

3-
화남십대공로[Mahonia japonica (Thunb.) DC.=華南十大功勞: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관목림 속에서 자라며 재배도 한다. 중국의 남부 및 서남 각지에 분포한다.

4-
서장십대공로[Mahonia canamicaulis Spare et Fisch.=西藏十大功勞: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서장(西藏)은 청대(淸代) 이후에 사용한 <티베트>에 대한 호칭으로 티베트에서 자라는 뿔남천을 말한다.

뿔남천의 여러 가지 이름은
대만십대공로[臺灣十大功勞=tái wān shí dà gōng láo=타이라오, 노서자자:老鼠子刺, 용양남촉:榕樣南燭, 구골남천:狗骨南天, 산황백:山黃柏, 자황백:刺黃柏, 황심수:黃心樹, 철말괘:鐵八卦, 천서자:天鼠刺, 황백:黃柏, 각자차:角刺茶, 화남십대공로:華南十大功勞, 일본십대공로:日本十大功勞: 유기백과(維基百科)], 십대공로[十大功勞: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십대공로엽[Mahonia bealei (Fort.) Carr.=十大功勞葉: 본초재신(本草再新)], 공로엽[功勞葉: 음편신참(飮片新參)], 활엽십대공로[闊葉十大功勞, 자황벽:刺黃檗, 대엽황백:大葉黃柏, 황백수:黃柏樹, 피씨황련죽:皮氏黃蓮竹, 노서자:老鼠刺: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세엽십대공로[Mahonia fortunei (Lindi.) Fedde.=細葉十大功勞, 묘아두:猫兒頭, 도과산수:刀瓜山樹, 황천죽:黃天竹, 협엽십대공로:狹葉十大功勞: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화남십대공로[Mahonia japonica (Thunb.) DC.=華南十大功勞: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서장십대공로[Mahonia canamicaulis Spare et Fisch.=西藏十大功勞: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히이라기난텐[ヒイラギナンテン=柊南天, 토우난텐:トウナンテン: 일문명(日文名)], 천촉자[天燭子], 남죽자[南竹子], 홍구자[紅枸子], 가시남천, 대만남천죽, 뿔남천 등으로 부른다.

활엽십대공로(闊葉十大功勞)와 화남십대공로(華南十大功勞)의 뿌리의 다른 이름은 자황련[茨黃連: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십대공로근[十大功勞根: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토황련[土黃連: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토황백[土黃柏: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석황련[石黃連: 육천본초(陸川本草)], 자황련[刺黃連: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등으로 부른다.

세엽십대공로(細葉十大功勞)의 뿌리의 다름 이름은 자황백[刺黃柏: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노서자[老鼠刺, 목황련[木黃連: 초목편방(草木便方)], 자황금[刺黃芩: 천보본초(天寶本草)], 산황금[黃芩, 야황금:黃芩: 민간상용초약휘편(民間常用草藥彙編)]등으로 부른다.

활엽십대공로
(闊葉十大功勞)와 화남십대공로(華南十大功勞), 세엽십대공로(細葉十大功勞)의 줄기의 다른 이름은 공로목[功勞木: 음편신참(飮片新參)]이라고 부른다.

엽십대공로(闊葉十大功勞)와 화남십대공로(華南十大功勞), 세엽십대공로(細葉十大功勞)의 열매의 다른 이름은 공로자[功勞子: 음편신참(飮片新參)]라고 부른다.

[채취]


<잎>


<중약대사전>: "가을에 채취한다."

<세
엽십대공로의 뿌리>

<중약대사전>: "여름, 가을에 채취한다. 깨끗이 씻고 햇볕에 말린다."

<줄기>


<중약대사전>: "1년 내내 채취하여 잘게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열매>


<중약대사전>: "6월에 열매 꼭지인 과서(果序)를 따서 햇볕에 말린 다음 열매를 손으로 비벼 잡물은 없앤다. 그런 다음 다시 햇볕에 잘 말린다."

[약재(藥材)]


<잎>


<중약대사전>: "1,
활엽십대공로(闊葉十大功勞)의 잎은 달걀 모양 타원형이고 끝은 점차 뾰족해진 모양이며 예리한 가시가 있고 기부는 심장형 혹은 절단형에 가깝고 비스듬하며 양측 가장자리에 가시 모양의 톱니가 각 2~8개 있고 톱니의 끝은 밑면 쪽으로 약간 구부러져 있으며 윗면은 자색을 띤 녹색 광택이 있고 밑면은 황록색을 나타낸다. 질은 단단하면서도 취약하다. 냄새는 매우 약하고 맛은 싱겁다. 중국의 절강, 안휘, 강서 등지에서 난다.

2,
세엽십대공로(細葉十大功勞)의 잎은 좁은 피침형이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가시 모양의 톱니가 6~13개 있다. 그 외에는 활엽십대공로(闊葉十大功勞)와 같다. 중국의 절강, 안휘, 강서 등지에서 난다.

3,
화남십대공로(華南十大功勞)의 잎은 약재로서의 성상은 활엽십대공로(闊葉十大功勞)와 같다. 중국의 복건, 운남에서 사용된다.

<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에 있는 <십대공로(十大功勞)>는 상술한 매자나무과 식물이지만 현재 약재로 쓰이는 것은 절강, 강서 등지에 국한되며 그 외에 민간약으로 쓰이는 것은 복건, 광동, 광서 등지에서 볼 수 있을 뿐이다.

서장(西藏: 티베트) 지역에서 쓰이는 십대공로(十大功勞)의 잎은 서장십대공로(西藏十大功勞)의 잎이다.시장에 나오는 공로엽(功勞)은 동청과 식물 구골(枸骨=호랑가시나무: llex cornuta Lindle)의 잎이다."

<세
엽십대공로의 뿌리>

<중약대사전>: "말린 뿌리는 원기둥 모양이고 지름은 약 1.5cm이며 표면은 황갈색이고 세로 무늬가 있다. 단면은 선명한 황색이고 목질부는 황백색이다. 질은 단단하다. 냄새는 미약하고 맛은 쓰다.

중국의 사천에서 생산된다."

<줄기>


<중약대사전>: "말린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표면이 연한 갈색이며 표면에 얕은 세로홈과 돌기된 잎 흔적이 있다. 어린 줄기는 조금 반들반들하고 표면에 세로 홈이 있으며 마디가 뚜렷하고 껍질이 조금 엷어서 쉽게 벗겨진다. 안쪽면은 선명한 황색이며 선처럼 가늘고 긴 섬유가 붙어 있다. 질이 단단하고 절단면이 갈라져서 터진 모양이다. 횡단면의 고갱이 부분은 연한 황색이고 목질부(물관부)는 황색이며 바깥쪽의 황색이 비교적 짙고 사선(射線)이 백색이며 아주 뚜렷하다. 주산지는 절강, 광서 등지이다."

<열매>


<중약대사전>: "말린 열매는 타원형 모양이고 지름이 0.6~0.8cm이며 남흑색(藍黑色)이고 표면에 흰 가루가 덮여 있으며 주름이 있고 속에 갈색을 띤 종자가 몇 개 들어 있다. 주산지는 절강이다. 강소 및 절강의 일부 지역에서는 감탕나무과의 식물인
구골(枸骨=호랑가시나무: llex cornuta Lindle)의 열매를 공로자(功勞子)로 쓰고 있다."

[성분]


<잎>


<중약대사전>: "화남십대공로(
華南十大功勞)의 잎에는 iso-tetrandrine 1.566%, berberine 0.035%, palmatine 0.035%, ja-trorrhizine 0.087%가 함유되어 있다.

세엽십대공로(細葉十大功勞), 활엽십대공로(闊葉十大功勞)는 모두 베르베린(berberine: 아이소퀴놀린알칼로이드의 한 종류)을 함유한다."

<줄기>


<중약대사전>: "
활엽십대공로(闊葉十大功勞)의 줄기에는 1.14%의 베르베린(berberine: 아이소퀴놀린알칼로이드의 한 종류)이 들어 있고, 세엽십대공로(細葉十大功勞)의 줄기에는 베르베린(berberine), 베르바마인(berbamine), jateorrhizine, palmatine 및 oxyacanthine 등이 들어 있으며, 화남십대공로(華南十大功勞)의 줄에는 isotetrandrine 0.890%, 베르바마인(berbamine) 0.007%, 베르베린(berberine) 0.730%, 팔마틴(palmatine) 0.730%와 jateorrhizine 1.210%가 들어 있다.

뿌리의 성분은 줄기의 성분과 같다
."

<열매>


<중약대사전>: "
화남십대공로(華南十大功勞)의 열매에는 다량의 isotetrandrine과 베르바마인(berbamine)이 들어 있다. 특히 종자에 많이 들어 있는데, 전자가 2.333%이고 후자가 0.666%이다."

[약리작용]

<잎>


<중약대사전>: "
활엽십대공로(闊葉十大功勞)의 탕제 25%in vitro에서 황색 포도상 구균, 대장균, 녹농균에 대해 약한 억제 작용을 한다.

세엽십대공로(細葉十大功勞)에서 추출된 3가지 알칼로이드(alkaloid: 1-jatrorrhizinethiocyanide, 2-N-methyltetrahydrojatrorrhizine thiocy-anide, palmatine thiocyanide)를 마우스(mouse)에 정맥 주사한 경우의 LD500.1, 0.08, 0.09mg/10g이다. 이들의 알칼로이드(alkaloid)는 저농도(0.001~0.002%)에서는 적출 장관의 자발운동을 촉진시키고 고농도(0.01% 이상)에서는 장력의 상승, 운동의 억제를 가져온다. 적출한 개구리의 심장에 대해서 jatrorrhizine은 먼저 억제하고 후에 흥분시키며 palmatine은 경도로 흥분시킨다. 마취한 토끼에게 상술한 알칼로이드(alkaloid)를 정맥 주사하면 어느 것이나 모두 단시간에 혹은 경도의 혈압 강하를 가져온다. 두꺼비의 뒷다리의 혈관에 대해서는 뚜렷한 영향은 없다. 이들 알칼로이드(alkaloid)에 의한 혈압을 낮추는 작용은 중추와는 관계가 없으며(추골:椎骨 동맥에 주사하였을 때는 혈압을 낮추는 작용은 없으며 경동맥 혈류를 차단하거나 기관을 폐색하여 일어나는 승압 반사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atropine의 영향도 받지 않지만 adrenaline의 승압 작용은 억제한다. 좌골 신경~비복근표본, 체온, 혈당 등에 대해서는 작용이 없고 용혈성도 없다.

화남십대공로(華南十大功勞)에는 베르베린(berberine: 아이소퀴놀린알칼로이드의 한 종류)이 함유되어 있다(작용은 황련:黃連)을 참조할 수 있다). 이외에 Ehrlich's 복수암(ascites carcinoma)으로 체내에 있어서의 항암작용 screening test를 행하여 그 속에 함유되어 있는 isotetrandrine에 항암 작용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성미]


<잎>


<음편신참>: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줄기>


<음편신참>: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
활엽십대공로화남십대공로의 뿌리>

1, <분류초약성>: "성질은 서늘하다."

2, <육천본초>: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세
엽십대공로의 뿌리>

<초목편방>: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귀경(歸經)]


<잎>

<본초재신>: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잎>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허(虛)를 보양하며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이는 효능이 있다. 폐결핵에 의한 해혈(咳血), 골증조열(骨蒸潮熱: 폐결핵 환자 등의 조열), 현훈이명(眩暈
耳鳴), 허리와 다리가 나른하고 아파서 기운이 없는 증세, 심번(心煩), 목적(目赤)을 치료한다."

2, <본초재신>: "허로, 기침을 치료한다."

3, <식물명실도고>: "토혈을 치료한다."

4, <음편신참>: "폐결핵을 치료하고 기침을 멎게 하며 가래를 삭이고 허열을 내리며 기생충을 구제한다."

5, <현대실용중약>: "
청량성 자양 강장제이다. 효능은 여정자(女貞子: 광나무열매)와 비슷하며 조열(潮熱), 골증, 요통, 슬무력(膝無力), 현훈(眩暈), 이명 등의 증상에 적용된다."

6, <육천본초>: "화(火)를 사(瀉)하고 열을 내린다. 온병(溫病)에 의한 발열, 심번(心煩), 하리(下痢), 적안(赤眼)을 치료한다."

7, <서장상용중초약>: "습열에 의한 하리(下痢), 목적(
目赤)에 의한 통증 및 동통, 옹종 창독을 치료한다."

<
활엽십대공로화남십대공로의 뿌리>

1, <중약대사전>: "
열을 내리고 화()를 내리며 양혈(涼血),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유행성 감기, 열성 설사, 복사, 황달, 토혈, 결막염, 목적예막(目赤翳膜), 인후통, 치통, 정창(疔瘡)을 치료한다."

2, <식물명실도고>: "뿌리의 즙을 입에 물고 있으면 치통이 치료된다."

3, <분류초약성>: "물에 담가서 결막염에 바르고
목적예막(目赤翳膜)에 넣는다. 인후통을 치료한다."

4, <육천본초>: "화(火)를 내리며 열을 내린다. 온병(溫病: 습사:濕邪로 인한 급성 동통)의 발열, 심번(心煩), 설사를 치료한다."

5, <사천중약지>: "토혈을 치료하며 뱀에 물린 상처에 바른다."

6, <민동본초>: "황달, 열성 설사, 항문 부종 및 동통을 치료한다."

<세
엽십대공로의 뿌리>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습을 거두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황달, 열리(熱痢), 임탁(淋濁), 목적종통(
目赤腫痛), 결막염 부종 및 동통, 노열골증(勞熱骨蒸), 두훈이명(頭暈耳鳴), 풍습비통(風濕痺痛), 옹종창독(癰腫瘡毒)을 치료한다."

2, <본초편방>: "대소변이 잘 통하게 하고 머리와 눈을 맑게 하며 풍열(風熱)을 제거한다. 미친 개에 물린 상처를 치료하고 기생충을 구제한다."

3, <천보본초>: "화(火)를 제거하고 열을 내린다.
목내예증[目內翳症: 눈동자가 흐려지는 증세], 전광(癲狂)을 치료한다,"

4, <복건민간초약>: "열을 내리고 골증(骨蒸)을 제거하며 이명(
耳鳴), 두훈(頭暈)을 치료한다."

5, <사천중약지>: "해열, 해독하고 습열 이질, 결막 충혈로 붓고 아픈 증상, 옹종 창독, 홍종(紅腫)을 치료한다."

<줄기>


1, <음편신참>: "청폐(淸肺)하고 폐결핵으로 인한 기침을 멎게 하고 기생충, 해충 따위를 없애며 대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다."

2, <절강중약수책>: "보음(補陰), 지갈(止渴), 양혈(凉血)하는 효능이 있다."

<열매>


1, <중약대사전>: "
청열(淸熱), 이습(理濕)하는 효능이 있다. 조열골증(潮熱骨蒸: 폐결핵 환자 등의 조열), 설사, 붕대임탁(崩帶淋濁)을 치료한다."

2, <음편신참>: "하초(下焦)를 고삽(固澁)하며 만성 자궁출혈과 대하증, 임탁(淋濁), 설사를 치료한다."

3, <현대실용중약>: "결핵성 조열(潮熱)과 결핵성 골증, 허리가 시큰시큰 쑤시고 무릎이 연약해지는 증세, 현기증, 이명 등의 증상에 쓴다."

4, <절강중약수책>: "습기를 제거하고
신(腎: 콩팥)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용법과 용량]


<잎>


<중약대사전>: "내복: 2~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
활엽십대공로화남십대공로의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3~5돈 신선한 것은 1~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찧어서 붙이거나 가루내어 바른다."

<세
엽십대공로의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5~8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찧어서 붙인다."

<줄기>


<중약대사전>: "내복 7~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열매>


<중약대사전>: "6~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
활엽십대공로화남십대공로의 뿌리>

<광서중약지>: "체질이 허약한 환자는 쓰면 안 된다."

뿔남천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1권 46면 65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화남십대공로(華南十大功勞, 십대공로:十大功勞)

기원: 소벽과(小檗科=매자나무과: Berberidaceae)식물인 화남십대공로(華南十大功勞=뿔남천: Mahonia japonica (Thunb.) DC.)의 엽(: )이다.

형태: 상록성 관목으로 높이는 12m에 달하며 줄기는 직립하고 적게 분지한다. 잎은 우상복엽(羽狀複葉)이며 소엽(小葉)은 난원형(卵圓形)이고 잎끝은 뾰족한 가시 모양이며 엽저는 좌우대칭이 아니고 잎가장자리에는 26개의 크고 날카로운 거치(鋸齒)가 있다. 총상화서(總狀花序)는 가지 끝에 총생(叢生)하고 꽃은 담황색(淡黃色)이며 꽃자루의 기부(基部)에는 숙존(宿存)하는 포편(苞片)이 있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구형(球形)이며 남흑색(藍黑色)을 띠고 납분(蠟粉)으로 덮여있다.



분포: 산비탈 또는 관목 숲 속에서 자란다. 중국의 남부(南部) 및 서남(西南)에서 분포하며 재배하기도 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철에 뿌리인 자황련(茨黃連), 줄기인 공로목(功勞木), 과실인 공로자(功勞子)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isotetrandrine, palmatine, jatrorrhizine.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청열보허(淸熱補虛), 지해화담(止咳化痰).

주치: 폐결핵해혈(肺結核咳血), 발소(發燒), 두훈(頭暈), 이명(耳鳴), 요산퇴연(腰酸腿軟), 심번(心煩), 목적(目赤).

용량: 69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25.]

뿔남천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잎>


1, 풍화에 의한 치경종과 치통

십대공로엽(
十大功勞葉) 3돈을 물로 달여서 하루 2첩을 돈복한다. 통증이 심할 때에는 2첩으로 한다. [강서초약(江西草藥)]

<
활엽십대공로화남십대공로의 뿌리>

2, 황달, 소아 간열(肝熱), 폐열(肺熱), 창양종독(瘡瘍腫毒)
신선한 십대공로근(十大功勞根) 2, 빙당(氷糖) 5~1냥에 뜨거운 물을 넣고 약한 불에 끓여서 복용한다. [민동본초(閩東本草)]

3,
유행성 감기
십대공로근
(十大功勞根) 2, 지호초(地胡椒), 오포엽(烏泡葉) 3, 황형(黃荊) 2, 수창포(水菖蒲) 1돈 반을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초약(江西草藥)]

4,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십대공로근
(十大功勞根)과 우슬(牛膝)의 뿌리 각 2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본품은 구강염, 폐결핵, 해혈(咳血) 치료에도 쓸 수 있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5,
결막염
자황련
(茨黃連)의 거친 껍질을 제거한 안의 섬세한 껍질에 인유(人乳: 어머니의 젖)을 넣고 쪄서 눈에 넣는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6,
치통과 치은홍종(齒齦紅腫)
자황련(茨黃連), 고량칠(高粱七), 곡정초(穀精草)를 달여서 복용한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7,
관절풍습
십대공로근
(十大功勞根) 2~4, 멧돼지 발굽 반근, 황주(黃酒) 2~4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8,
타박상
십대공로근
(十大功勞根) 5, 껍질을 제거한 만년청근(萬年靑根) 2, 두형근(杜衡根) 1돈을 달여서 하루 한 첩을 복용한다. [강서초약(江西草藥)]

9,
정창염종(疔瘡炎腫)
십대공로근(十大功勞根)을 햇볕에 말려 가루내고 동밀(冬蜜)로 개어 바른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10,
염창(臁瘡)
십대공로근(十大功勞根)을 햇볕에 말려 가루내고 동밀(冬蜜)로 개어 바른다. [민동본초(閩東本草)]

11,
유행성감기(임상보고)
활엽십대공로(闊葉十大功勞)의 줄기와 뿌리를 가루내어 11돈을 13회 복용한다. 보편적으로 복용시켜 유행성 감기의 유행을 제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중약대사전]

12,
설사(임상보고)
활엽십대공로(闊葉十大功勞)의 줄기와 뿌리의 거친 껍질을 제거하고 곱게 가루내어 캡슐 1알에 0.3g을 넣는다. 13, 하루 4번 복용한다. 6~14세는 12, 6세 이하는 11알을 복용한다. 탈수 환자는 수분을 공급해주어야 하며 적당히 금식한다. 100례 정도를 관찰한 결과(소아의 소화불량, 급성 장염 및 세균성 설사 포함) 대부분의 환자는 1~3일 내에 열이 내리고 대변은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중약대사전]

13,
안검녹염(眼瞼綠炎)(임상보고)
활엽십대공로(闊葉十大功勞)의 진한 탕액에 노감석(盧甘石)의 가루를 넣어 거조한 뒤 곱게 가루내어 30g에 바셀린(vaseline) 90g, 라놀린(lanolin) 10g을 첨가하여 만든 연고를 눈 가장자리에 바른 결과 치료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

<세
엽십대공로의 뿌리>

14, 습열황달

세엽십대공로(細葉十大功勞)의 신선한 뿌리 2냥, 치자(梔子)의 신선한 뿌리 1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5,
습열임탁(濕熱淋濁)
세엽십대공로(細葉十大功勞)의 신선한 뿌리와 줄기 1~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6,
풍열(風熱) 목적종통(目赤腫痛)
자황백(刺黃柏), 곡정초(穀精草), 국화(菊花), 방풍(防風), 형개수(荊芥穗), 황련(黃連), 하고초(夏枯草: 꿀풀), 상엽(桑葉: 뽕잎)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17,
산욕열
세엽십대공로
(細葉十大功勞)의 뿌리 1, 양고기 8냥에 홍주(紅酒)나 끌여서 식힌 물을 적당량 넣고 약한 불에 2시간 끓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8,
두훈이명(頭暈耳鳴)
세엽십대공로(細葉十大功勞)의 뿌리 1, 연자육(蓮子肉) 4냥에 끓여 식힌 물을 적당량 넣고 약한 불에 1시간 끓여서 12회 식후에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19,
관절염의 통증
세엽십대공로
(細葉十大功勞)의 뿌리 2, 멧돼지 발 7치에 끓여 식힌 물을 적당량 넣고 약한 불에 2시간 끓여서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20,
옹종창독(癰腫瘡毒)
자황백(刺黃柏), 유기노(劉寄奴: Artemisiae Anomalae Herba), 포공영(蒲公英: 민들레), 부용화엽(芙蓉花葉), 야연(野煙), 화두초(鏵頭草)를 함께 곱게 찧어서 붙인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비고(備考)]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십대공로(十大功勞)>는 광신(廣信)에서 난다. 뭉쳐나고 줄기는 단단하며 곧고 검다. 대엽이 차례로 배열되며 광택이 있고 강인하며 톱니는 가시와 같다. 가지 끝에 긴 수염이 몇 개 있으며 어자난(魚子蘭)과 비슷한 작은 열매가 달린다. 다른 한 종류는 잎이 가늘고 길며 톱니는 짧고 가시가 없다. 꽃은 무리지어 핀다. 이것도 어자난(魚子蘭)과 비슷하다."

[뿔남천 재배 방법]


1, 기후와 토양:
청량(淸凉)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토질이 무르고 사질 양토 혹은 충적토가 비교적 좋다.

2, 번식:
종자 번식, 육묘 후에 이식한다. 사천(四川) 지역에서는 3월에 파종한다. 흙을 부드럽게 부수어 고르게 하고 묘상으로 너비 1.3m의 두둑을 만든다. 두둑에 25cm의 간격으로 기링 7cm의 가로 홈을 파고 종자를 1무(畝)당 약 20~25kg 심은 다음 돼지분뇨를 주고 고운 흙을 3cm 두께로 덮는다. 2~3년 경과하여 모가 약 33cm로 자라면 이식할 수 있으므로 잘 정지한 땅에 3~4월 경에 너비 1.3m의 두둑을 만들고 행간, 포기간을 각 33cm 가량으로 해서 구멍을 파고 한 구멍에 한 그루씩 심고 흙을 덮고 단단히 다니 다음 그 위에 흙을 덮고 두둑의 면과 수평이 되게 하며 마지막에 물을 준다.

3, 경작 관리:
육묘 기간 동안은 사이갈이, 김매기를 해마다 5, 7, 9월에 3회 실시한다. 덧거름은 5, 9월 사이갈이, 김매기 후에 한다. 이식 후에는 사이갈이 김매기를 해마다 2~3회, 덧거름은 1회 실시한다. 비료는 돼지분뇨가 좋다. [중약대사전]

뿔남천이 사철푸른나무지만 기후변화로 날씨가 따뜻해져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도 잘 자라고 있다.


지구 온난화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기후가 최근에는 아열대 기후로 점차 바뀌면서 상록성 식물들이 전국에서 잘 자라고 있다. 남천도 많이 재배하고 가꾸어 관상용으로 만이 아니라 약용식물로 가꾸어 비록 외래종이지만 한국의 우수한 황토에서 오랫동안 생육하다보면 약효가 더 뛰어난 남천이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외래교수 전동명)

뿔남천 사진 감상: 1, 2, 3, 4, 5,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뿔남천 상세 사진 일본 웹사이트: 1, 2, 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남천 무엇인가?
  2. 뿔남천 무엇인가?
  3. 호랑가시나무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뿔남천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