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취(범의귀) 무엇인가?

잎이 호랑이 귀를 닮은 범의귀

 

 

 

 

 

 

 

 

 

 

img1.jpg

 

 

[<<바위취의 새싹, 잎이 올라오는 전초, 잎 앞면, 잎 뒷면, 뿌리 및 줄기 붉은색의 가는 줄기, 꽃이 핀 전초, 큰 대(大)자 모양의 위쪽에 붉은점이 박힌 3장의 꽃잎과 아래쪽에 흰색의 긴 꽃잎 2장, 붉은점이 박힌 위쪽 꽃잎 확대 모습, 사진-출처: JDM 촬영>>]

거풍, 양혈, 해독. 중이염, 담마진, 풍단열독, 풍화치통, 풍진, 단독, 습진, 피부소양, 폐열해수기역, 백일해, 열내림, 독풀이, 염증약, 감기, 열이 있을 때, 상처, 동상, 살균약, 어린이 폐렴, 폐옹으로 냄새나는 농을 토하는 증상, 토혈, 혈붕, 치질, 화농성 중이염[임상보고], 봄나물[잎이 벌어지기 시작할 때], 관상용, 동창궤란을 다스리는 바위취

바위취는 동아시아 원산의 범의귀과의 다년생 상록 초본 식물 즉 여러해살이풀이다.

바위취의 학명은 <
Saxifraga stolonifera (L.) Meerb.>이다. 높이가 40cm에 달하고 전체에 털이 있다. 포복 가지는 적자색이고 선 모양이며 땅에 닿으면 그곳으로부터 어린싹이 생긴다. 잎은 여러개이고 줄기의 기부에 뭉쳐나며 원형 또는 신장형이고 다육질이며 두껍고 너비는 4~9cm이다. 선단은 둥글고 가장자리는 얕게 갈라진 모양 또는 물결 모양 톱니이며 각개의 얕개 갈라진 톱니가 3~4개 성글 게 나 있다. 기부는 심장형 또는 절단형이며 윗면은 녹색이고 밑면은 적자색에 작고 둥근 점이 있다.

꽃자루는 잎겨드랑이로부터 나오고 높이는 잎의 2배 이상이며 적색이다. 총상화서는 길이가 12~20cm이다. 꽃떡잎은 달걀 모양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자루는 적자색의 선모로 조밀하게 덮여 있다. 꽃받침은 5개이고 달걀 모양이며 선단은 뾰족한 모양이다. 꽃잎은 5개이고 백색이며 크기가 같지 않는데, 아래의 2개가 약간 크고 위의 3개가 약간 작다. 수술은 10개이고 길이가 같지 않다. 암술은 1개이다. 씨방은 구형이고 위에 있으며 암술대는 2개로 갈라졌고 암술 머리는 가늘고 작다.

삭과는 달걀 모양이고 끝이 둘로 깊게 갈라졌으며 부리 모양이다. 종자는 달걀 모양이고 혹 모양의 돌기가 있다. 개화기는 5~7월이고 결실기는 7~11월이다. 범의귀 즉 바위취가
겨울철 눈이 쌓여 있어도 그 밑에 초록 잎을 붙이고 살아있는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일본에서는 <유키노시타=ユキノシタ=雪の下>라고 부른다.

그늘지고 습한 곳, 시냇가의 나무 그늘, 또는 산속 바위 위에서 자란다. 한자로 호이초(
虎耳草)는 잎의 모습이 호랑이 귀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원예종으로 다양한 무늬가 들어간 잎의 모양이 있다. 바위취 기본종은 푸른잎이지만, 잎의 색상이 변이가 심해 녹색, 연두색, 은색, 회색, 빨강, 분홍, 자주색 등 매우 다양하다.

바위취의 여러 가지 이름은
호이초[虎耳草=
hǔ ěr cǎo=VV차오V: 이참암본초(履巉岩本草)], 석하엽[石荷葉: 본초강목(本草綱目)], 금선조부용[金吊芙, 노호이:老虎耳: 생초약성비요(生草藥性備要)], 계계엽[系系葉: 간이초약(簡易草藥)], 천하엽[天荷葉, 금사하약:金絲荷藥: 현대실용중약(現代實用中藥)], 사면조매[絲棉吊梅: 중국약식지(中國藥植誌)], 이롱초[耳聾草, 저이초:猪耳草, 사자초:獅子草: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금전하엽[金錢荷葉: 민간상용초약휘편(民間常用草藥彙編)], 금선련[金線蓮: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석단약[石丹藥: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불이초[佛耳草, 사사초:絲絲草, 해각초:蟹殼草, 차이초:搽耳草, 묘이타:猫耳朶: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이타초[耳朶草: 민동본초(閩東本草)], 홍사락[紅絲絡, 홍선초:紅線草, 홍선승:紅線繩, 수목타:水目朶, 이하홍:耳下紅, 금사초:金絲草, 월타홍:月朶紅, 동전초:銅錢草: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Strawberry saxifrage[Strawberry geranium: 영명(英名)], 유키노시타[ユキノシタ=雪の下, 코지소오:コジソウ=虎耳草=호이초: 일문명(日文名)], 범의귀풀[북한명], 등이초[草], 왜호이초, 범의귀, 주걱잎범의귀, 참바위취, 멧바위취, 톱바위취, 바위취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일년 내내 채취할 수 있으나 개화 후에 채취하는 것이 좋다."

[성분]


<중약대사전>: "알칼로이드, 질산칼륨, 염화칼륨, arbutin이 함유되어 있다. 그 엽록체에 들어 있는 효소는 ciscaffeic acid를 산화시켜서 대응하는 올토기논이 되고 후자는 자연 산화를 거쳐 esulein이 된다."

[성미]


1, <이참암본초>: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있다."

2, <본초강목>: "맛은 약간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조금 있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열을 제거하며 양혈해독(凉血解毒)하는 효능이 있다. 풍진, 습진, 중이염, 단독(丹毒), 해수토혈(咳嗽吐血), 폐옹(肺癰), 붕루(崩漏), 치질(痔疾)을 치료한다."

2, <이참암본초>: "치질종독(痔疾腫毒)의 치료에는 호이초 소량을 햇볕에 말려 변기(便器)에 넣고 태워 그 연기를 쏘인다."

3, <본초강목>: "온역(瘟疫)에는 찧어서 술과 함께 복용한다. 신선한 것을 쓰면 구토를 촉진시키고 익은 것을 쓰면 구토를 멎게 한다. 또 정이(
聤耳) 즉 급성 중이염의 치료에는 찧어 짠 즙을 점적(点滴)한다."

4, <생초약성비요>: " 이내폭열독(耳內暴熱毒), 홍종유농(紅腫流膿) 동통에는 짓찧어 짠 즙을 귀에 점적(点滴)하거나 빙편(氷片)을 가하여 통기(痛氣)를 풀어 주어 치료한다."

5, <식물명실도고>: "목이 막혀 소리가 나지 않을 때에는 차(茶)를 대신하여 마신다. 또 토혈을 치료한다."

6, <분류초약성>: "폐열(肺熱)을 내리고 기침을 멈추게 한다. 풍진(風疹), 단독(丹毒)을 치료한다."

7, <현대실용중약>: "창옹(瘡癰), 동창(凍瘡) 및 독충에 쏘인 상처 등에 바른다."

8, <강서민간초약>: "폐(肺)가 열(熱)하여 나는 기침, 기역(氣逆), 토혈, 폐옹(肺癰)으로 취농(臭膿)을 토하는 병, 백일해, 간염, 동자로(童子
) 즉 소아결핵(小兒結核) 등을 치료한다."

9, <광주민간, 상용중초약수책>: "습을 제거하고 부은 것을 내리며 혈분(血分)에서 열사(熱邪)를 제거하고 지혈(止血)하며 열을 내리고 해독한다. 외상 출혈, 급 만성 중이염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3~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짠 즙을 점적하거나 탕액으로 달여서 약기운을 쏘인다."

바위취, 흰 바위취, 톱바위취의 효능에 관하여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320-321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바위취

학명:
Saxifraga stolonifera Meerburgh (S. sarmentosa L.)

다른 이름:
호이초

식물:
사철 푸른 여러해살이풀인데 털이 많다. 잎은 둥글며 아랫면이 붉은색을 띤다. 여름철에 흰 꽃이 핀다.

각지의 산골짜기, 바위틈에서 자라거나 꽃보기풀로 심는다.

성분:
전초에 베르게닌, 플라보노이드인 삭시프라긴(쿠에르세틴-5-글루코시드) 및 쿠에르시트린이 있다. 질산칼륨, 염화칼륨과 같은 무기물질도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전초를 열내림, 독풀이 염증약으로 감기나 열이 있을 때 달여 먹는다.

민간에서 신선한 잎을 여러 가지 상처와 동상에 붙인다. 또한 살균약으로 어린이 폐렴, 감기 등에 쓰기도 한다. 생즙을 중이염의 귀에 넣으면 좋다고 하나 임상 결과에 의하면 효과가 뚜렷하지 않았다.

흰바위취


학명: Saxifraga manshuriensis Komarov

식물:
높이 약 4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큰 에움이 있다. 꽃은 작고 흰색이다.

북부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성분:
전초에 탄닌질, 쿠마린이 있다.

응용:
전초 달인액을 민간에서 오랜 신경아픔에 아픔멎이약으로 쓴다.

톱바위취


학명:
Saxifraga punctata L.

식물:
높이 30~4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생긴 에움이 있다. 작은 흰 꽃이 가지 끝에 여러 개 핀다.

북부와 중부의 깊은 산 습한 곳에서 자란다.

성분:
잎, 줄기, 뿌리에 탄닌질, 아르부틴이 있다.

응용:
민간에서 잎을 담낭염에 쓴다. 또한 자궁출혈, 월경과다, 전간, 마비 등에 달여서 먹는다.]

바위취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4권 90면 166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호이초(虎耳草)

기원: 호이초과(虎耳草科=범의귀과: Saxifragaceae)식물인 호이초(虎耳草=바위취: Saxifraga stolonifera (L.) Meerb.)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20∼40cm이다. 전체에 털이 있다. 가지는 땅바닥으로 뻗고 자색(紫色)이며 실모양이다. 잎은 기부(基部)에서 총생(叢生)하고, 엽편(葉片)은 원형(圓形) 혹은 신장형(腎臟形)이며 육질(肉質)이고 폭은 4∼9cm이며, 가장자리는 얇은 열상(裂狀)이고 엽저는 심장형(心臟形) 혹은 원형(圓形)이며 잎 뒷면은 자홍색(紫紅色)이고 소원점(小圓點)이 있다. 꽃대는 높이가 잎의 2배이고 자홍색(紫紅色)이며, 꽃은 총상화서(總狀花序)에 달리고 작은 꽃자루는 홍자색(紅紫色)으로 선모(腺毛)가 덮여있으며, 꽃받침은 5장이고, 꽃잎도 5장이며 백색(白色)이고 아랫쪽 2장은 비교적 크고, 윗쪽의 3장은 비교적 작으며, 수술은 10개이고 길이가 같지 않으며, 자방은 구형(球形)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난형(卵形)이며 정단(頂端)은 2심열((深裂)이고 부리 모양이다.




[<<바위취의 잎과 뿌리, 꽃, 사진-출처: 중국본초도록/ JDM 촬영>>>]

분포: 빛이 적게 들어오고 습기가 많은 숲속이나 숲아래 음습한 곳이나 음습한 암석위나 개울가에서 자란다. 중국의 남방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년중 채취가 가능하고,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리거나, 생용(生用)한다.

성분: alkaloid, arbutin, potassium nitrate.

기미: 맛은 맵고 성질은 서늘하며 독이 조금 있다.

효능: 거풍(祛風), 양혈(凉血), 해독(解毒).

주치: 풍진(風疹), 단독(丹毒), 중이염(中耳炎), 폐옹(肺癰).

용량: 5∼15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2754호.]

바위취를 봄나물로 먹는 것과 관련하여
<한눈에 보는 산채 대백과> 144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바위취 [범의귀과]

종류:
여러해살이풀

분포:
한국-중부 이남, 일본-도호쿠~규슈

별명:
호이초(
虎耳草), 범의귀, 왜호이초, 등이초(), 석하엽(石荷葉)

[채취]


생육장소:
습기 있는 돌담, 계곡가 바위, 정원 등

채취시기:
봄-잎이 벌어지기 시작할 때

채취방법:
잎에 줄기를 조금 남기고 1장씩 딴다.

[요리]


밑손질:
표면을 비비듯이 잘 씻는다.

추천요리:
밑손질 필요, 튀김, 줄기가 부드러워질 때까지 데쳐서 물에 담갔다가 무침

[이용부위]


잎은 조심스럽게 1장씩 딴다.

습지에서 자란다. 습기 있는 돌담이나 바위, 정원 울타리를 따라 자란다.

잎 앞면은 초록색이고 가장자리가 하얀 모양이며, 뒷면은 적갈색이다. 표면에 거친 솜털이 있는 것도 특징 중 하나이다. 초여름에는 작은 꽃잎이 3장, 큰 꽃잎이 2장인 독특한 꽃이 핀다. 바위 등에서 자라 뿌리가 얕으므로 잎은 1장씩 조심스럽게 딴다.
]

바위취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중이염

신선한 호이초엽의 즙액(汁液)을 귓속에 점적(
點滴: 액체를 방울방울 떨구어 넣는 것)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2, 담마진

호이초, 청대(靑黛)를 함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3, 풍단열독(風丹熱毒), 풍화치통(風火齒痛)

신선한 호이초를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남경지역상용중초약(南京地域常用中草藥)]

4, 풍진, 소양, 습진

신선한 호이초 5돈~1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5, 습진, 피부소양

신선한 호이초 1근을 잘게 썰고 거기에 95% 알코올을 습할 정도로 가하여 섞어서 다시 30%의 알코올 1,000ml를 가하여 1주일간 담갔다가 여과하여 찌꺼기를 버리고 환부에 바른다. [남경지역상용중초약(南京地域常用中草藥)]

6, 폐열해수기역(肺熱咳嗽氣逆)

호이초 3~6돈, 빙당(氷糖) 0.5냥을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7, 백일해

호이초 3~6돈, 빙당(氷糖) 0.5냥,을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8, 폐옹(肺癰)으로 냄새나는 농(膿)을 토(吐)하는 증상

호이초 4돈, 인동엽(忍冬葉) 1냥을 물로 2회 달여서 나누어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9, 토혈

호이초 3돈, 돼지 정육 4냥을 섞어서 잘게 썰어 저며서 육병(肉餠)을 만들어 물을 가하여 쪄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10, 혈붕(血崩)

신선한 호이초 1~2냥에 황주(黃酒)와 물을 각각 반량(半量)씩 가하고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11, 치질

호이초 1냥을 물로 달여서 식염을 조금 넣는다. 이것을 관(
罐: 항아리)에 넣고 그 속에 허리를 잠기게 하고 1일 1회 환부를 씻는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12, 동창궤란(凍瘡潰爛)

신선한 호이초잎을 짓찧어 환부에 바른다. [남경지역상용중초약(南京地域常用中草藥)]

13, 화농성 중이염(
임상보고)
신선한 잎을 몇 잎 따서 짓찧어 즙을 가제로 여과시키고 거기에 빙편(氷片)을 적당히 넣은 다음 안약병에 넣어 둔다. 사용할 때에 먼저 3%의 과산화수소수로 외이도(外耳道)를 세척하고 농성(膿性) 분비물을 제거하여 깨끗이 한 다음 호이초액(虎耳草液)을 1회에 1~2방울 1일에 3회 점적한다.

화농성 중이염의 치료 31례 중, 급성인 25례는 평균 3일 내에 완치되었고 만성인 6례는 평균 7일 내에 효과가 나타났다. [중약대사전]

[비고(備考)]


1, <본초강목(本草綱目)>:
"호이(
虎耳)는 그늘지고 습한 곳에서 자란다. 석산(石山) 위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줄기는 5~6치의 높이이고 가는 털이 나 있다. 줄기 하나에 잎이 1개인데, 하엽(荷葉)이 뒤덮인 형상이기 때문에 석하엽(石荷葉)이라고 한다. 잎의 크기는 동전만하며 형상은 피기 시작한 규엽(葵葉) 또는 호랑이의 귀를 닮았다. 여름에 작은 연한 홍색의 꽃이 핀다."

2,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화중호이초(華中虎耳草: Saxifragafotunec Hook f.)는 본종에 가깝지만 포복하는 줄기가 없고 꽃잎에 톱니가 있다. 사천(四川)과 호북(湖北)에 분포한다. 전초는 중이염을 치료하는데 찧어서 짠 즙을 귀에 점적한다."

[바위취 재배 방법]


1, 기후와 토양:
그늘지고 서늘하고 축축한 곳을 좋아해서 비옥하고 습윤한 곳이 적당하며 습기가 많은 숲속이나 그늘지고 습한 요부(凹部)가 있는 바위 위가 비교적 좋다.

2, 번식:
분주(分株)로 번식을 한다. 중국 사천(四川) 지역에서는 여름에 수염뿌리가 발달하고 튼튼히 자란 포기로 높이가 7~8cm 되는 포복 가지로부터 나온 유묘(幼苗)를 뽑아서 종묘(種苗)로 한다. 숲 밑에서 재배할 경우에는 지면의 잡초와 과밀하게 난 것을 솎아 내고 이랑 사이 거리, 포기 사이 거리 각각 17cm 마다 구멍을 파서 땅에 얕게 심고 수염뿌리를 흙 속에 묻는다. 그늘지고 습한 암석의 요부(凹部)에서 재배할 경우에는 묘(苗)를 암석(巖石)의 틈에 심고 습한 부식질토로 수염뿌리를 단단히 밀어 넣고 물을 주어야 한다.

3, 경작 관리:
항상 김매기하고 너무 큰 태선(苔蘚) 식물은 뽑아 버린다. [중약대사전]

바위취는 꽃의 생김새가 독특한데, 위쪽에는 작은 분홍색 꽃잎이 3장, 아래쪽에는 큰 흰색 꽃잎이 2장을 하고 있어서 자세히 관찰해 보면 조물주가 인간에게 또 다른 기쁨을 주기 위해서 만들어 놓은 것이 분명하다. 바위취를 만든 조물주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 마땅하다. 잎이 얼룩덜룩하고 꽃이 대단히 앙증맞고 아름다워 전국의 정원이나 화단에서 많이 가꾸고 있다.

산속에서 바위취 잎을 채취할 때 주의할 점은 뿌리가 얕게 바위틈에 내리고 있기 때문에 잎을 1장씩 조심스럽게 따서 채취하여야 한다. 봄철 부드러운 연한잎을 채취하여 봄나물로 해 먹거나 튀김을 해서 먹으면 맛이 좋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바위취(범의귀)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위취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 아래에 필자가 찍은 범위귀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