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가지똥 무엇인가?

봄, 가을~이듬해 봄 철 새싹 및 뿌리잎을 나물로 먹는 방가지똥

 

 

 

 

 

 

 

 

 

 

 

 

 

 

 

 

[방가지똥 뿌리잎, 자란잎, 줄기, 꽃, 꽃턱, 열매, 종자, 종자털 확대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암 작용(유방암, 간암 등), 마취 작용, 고형암의 성장억제 작용, 청열해독, 양혈, 열독혈리, 옹종창독. 청열, 말벌에 쏘였을 때, 사마귀를 떼는데, 설사약, 오줌내기약, 부기, 중독에 독풀이약, 열내림약, 젖을 나게 하는 약, 열물내기약, 구갈, 황달, 간염, 위장질병, 만성 기관지염, 박사장(표달), 소아 감적, 대구악창, 여성의 유방이 발갛게 부어오르고 아플 때, 나물용(봄, 가을~이듬해 봄), 양혈, 해독, 이질, 혈림, 치루, 기관지염, 유종, 간경화, 독사교상을 다스리는 방가지똥

방가지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방가지똥의 학명은 <
Sonchus oleraceus L.>이다. 방가지풀이라고도 한다. 길가나 들에서 자라는 잡초이다. 높이 30∼10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속이 비어 있으며 자르면 하얀 즙이 나온다. 뿌리에 달린 잎은 작으며 긴 타원 모양의 넓은 바소꼴로서 일찍 시든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원줄기를 거의 둘러싸고 깃처럼 갈라진다. 밑부분의 잎은 길이 15∼25cm, 나비 5∼8cm이며 날개가 달린 잎자루가 있다. 잎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톱니 끝이 가시같이 뾰족하다.

꽃은 5∼9월에 노란색이나 흰색으로 피고 지름 2cm 정도이며 산형(傘形) 비슷하게 늘어선다. 꽃대는 길이 1.5∼5.5cm이며 선모(腺毛)가 난다. 총포는 길이 약 11mm, 나비 12∼18mm로서 꽃이 핀 다음 밑부분이 커진다. 총포조각은 3∼4줄로 늘어서고 능선을 따라 선모가 난다. 열매는 수과로서 갈색이고 10월에 익는다. 관모는 길이 약 6mm이고 흰색이다.

유럽 원산으로서 아메리카에 귀화하였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사할린섬, 시베리아, 유럽, 아메리카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방가지똥과 큰방가지똥을 구별하는 방법은 방가지똥의 잎 가장자리의 톱니는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의 사기 모양의 톱니가 거의 없으며 잎의 밑부분이 줄기를 감싸고, 큰방가지똥의 잎 가장자리의 톱니는 고르지 않고 가시가 길면서 톱니가 많고 잎의 밑부분이 줄기를 둥글 게 감싸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방가지똥이 뿌리를
고채근[
苦菜根], 꽃과 씨를 고채화자[苦菜花子]라고 하며 함께 약용한다.

방가지똥의 여러 가지 이름은
고채[苦菜
=cài=V차이: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고거채[苦苣菜=cài=V차이: 길림성중약자원명록(吉林省中藥資源名錄),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茶, :: 시경(詩經)], 다초[茶草, :選: 본경(本經)], 유동[游冬: 명의별록(名醫別錄)], 야고마[野苦馬: 보제방(普濟方)], 청채[靑菜, 자고채:紫苦菜: 전남본초(南本草)], 근채[菜: 본초품회정요(本草品精要)], 고거[苦, 고매:苦, 천향채:天香菜: 본초강목(本草綱目)], 노아고매[老鴉苦: 의림찬요(醫林纂要)], 전고채[苦菜, 고마채:苦馬菜: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노게시[ノゲシ=野芥子, 하루노노게시:ハルノノゲシ, 게시아자미:ケシアザミ: 일문명(日文名)], 방가지풀[북측 방언], 방가지똥 등으로 불린다.

[채취]


<한국항암본초 641~643면>: "
여름의 개화기에 전초를 베어 세정하고 말린다."

[성분]


<중약대사전>: "
전초(오스트레일리아산)는 항종양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마우스의 넓적다리 근육에 sarcoma-37을 접종하고 6일 후에 고채(苦菜)의 산성 추출물을 피하 주사하여 6~48시간 후에 마우스를 죽인 다음 육안 및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종양이 뚜렷하게 상해(傷害: 출혈, 괴사 등)를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미]


1, <중약대사전>: "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2, <신농본초경>: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3, <명의별록>: "독이 없다."

[귀경]


1, <신농본초경소>: "심(心), 비(脾), 위(胃) 3경(經)에 들어간다."

2, <본초구진>: "심(心), 위(胃), 대장(大腸)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전초>


1, <중약대사전>: "
열을 내리고 피를 차게 하며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이질, 황달, 혈림, 치루, 정종 및 뱀에게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오장의 사기(邪氣)를 제거하고 위비(胃痺)로 음식 먹기를 싫어하는 증세를 치료한다."

3, <명의별록>: "장벽(腸
), 갈증, 열중질(熱中疾), 악창을 치료한다. 굶주림과 추위에 견디어 내게 한다."

4, <일화자제가본초>: "뱀에 물린 상처에 바른다."

5, <본초연의>: "고채(苦菜)를 꺾으면 흰 유액(乳液)이 나온다. 그것을 사마귀에 반복해서 떨구면 사마귀가 저절로 떨어진다."

6, <전남본초>: "혈분(血分)의 사열(邪熱)을 없애고 위통을 멎게 하며, 뱃속에 생긴 모든 적취를 제거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7, <본초회편>: "눈을 밝게하고 여러 가지 종류의 이질을 치료한다."

8, <본초강목>: "혈림과 치루를 치료한다."

9, <의림찬요>: "심화(心火)를 없애고 열을 내리게하며, 번민을 없애고 서사(暑邪)를 제거하며 젖의 분비를 촉진한다."

<뿌리>


<본초강목>: "혈림을 치료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다."

<꽃과 씨>


1, <본초연의>: "꽃은 중열(中熱)을 치료하고 심신(心神)을 안정시킨다."

2, <왕영(汪
), 식물본초(食物本草)>: "황달의 치료에는 연화자(連花子: 갈아서 아주 고운 가루로 만든 것) 7.5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2번씩 복용한다."

[용법과 용량]


<전초>


<중약대사전>: "
내복: 달여서 복용하거나 짓찧은 즙을 먹거나 또는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은 즙을 바르거나 달여서 약기운을 쐰다."

<뿌리>


<중약대사전>: "
내복: 신선한 것 37.5~56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배합과 금기(
주의사항)]

1, <신농본초경소>: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한 사람은 이것을 쓰지 못한다."

2, <수식거음식보>: "꿀과 함께 먹으면 안 된다."

방가지똥의 항암작용에 대해
<한국항암본초> 641~643면에서는 아래와 같이 알려주고 있다.

[고거채(苦苣菜: Herba Sonchi Oleracei)

기원: 방가지똥의 전초
과명: 국화과(Compositae)
이명: 고채
식물명: 방가지똥
학명: Sonchus oleraceus L.
중명: 고거채(苦苣菜)
영명: Common Sow thistle
일명: 노게시(ノゲツ)

높이 50~100cm의 1~2년 생으로 줄기는 직립하며 가운데 비었으며 유즙(乳汁)이 있다. 잎은 장타원상피침형(長
橢圓狀披針形), 길이 15~28cm, 폭 306cm, 우열 또는 제금상우열(提琴狀羽裂)이며 이저(耳底)이다. 5~9월에 개화하며 3~7개의 두화가 정생하여 산방상(傘房狀)으로 배열한다. 두화는 직경 2cm 정도, 꽃은 모두 설상이며 담황색이다. 수과는 도난상타원형이며 편평하고 적갈색, 관모는 백색이다.

생육지:
노지, 논과 밭 부근.
분포: 전국각지.
채집: 여름의 개화기에 전초를 베어 세정하고 말린다.
번식: 3~4월 또는 9~10월에 파종한다.

항암약리:
Sarcoma-37을 mouse 다리 근육에 접종한 6일 후 고거채 추출물을 피하(皮下)에 주사하였다. 6~48시간후에 mouse의 육종(肉腫)은 출혈 또는 괴사 등으로 파괴되었다.

성미:
맛은 쓰며 성질은 차다.

작용:
간, 위에 작용한다.

약효:
열이 내미며 즉 청열(淸熱), 피를 맑게하고 즉 양혈(凉血), 해독한다.

적응증:
황달, 이질(痢疾), 혈림(血淋), 치루, 기관지염, 유종, 간경화.

주의:
비위가 약한 사람은 금지한다. 밀봉(蜜蜂: 꿀)과 함께 쓰지 않는다.

용법과 용량:
20~30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 및 녹즙을 활용하며, 갈아서 바르거나 달인 물을 훈세한다.

[항암임상응용]


1, 유방암: 생고거채의 녹즙을 달여서 복용한다. [전남본초(
滇南本草)]

2, 간암, 간경화증: 고거채, 초장초(酢漿草: 괭이밥) 각 30g을 돼지고기와 함께 고아 먹는다.

참고문헌:
1, 강소신의학원(江蘇新醫學院),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1286, 1977면.]

방가지똥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513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방가지똥
[Sonchus oleraceus L.] [국화과]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높이 30~100cm. 꽃은 황백색으로 5~9월에 핀다. 열매는 수과로 갈색이고, 길이 3mm 가량이다.

분포/
전국의 들이나 밭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대만, 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 유럽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를 고채(苦菜)라고 하며, 청열, 양혈, 해독의 효능이 있고, 이질, 황달, 혈림(血淋), 치루, 독사교상을 치료한다.

성분/
sonchuside A, B, C, D, glucozaluzanin C, macrocliniside A, crepidiaside A, picriside B, C 등이 알려져 있다.

약리작용/
쥐의 대퇴 근육에 sarcoma-37을 접종하고 1주일 후에 산성 추출물을 피하 주사하면 고형 암의 성장을 억제한다.

사용법/
전초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서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방가지똥의 효능에 대해서 북측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749-750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방가지풀
[Sonchus oleraceus L.]

다른 이름:
방가지똥

식물: 높이 약 1m 되는 두해살이풀이다. 잎은 긴 타원형인데 깃 모양으로 갈라졌으며 줄기를 둘러싼다. 가장자리에 가시톱니가 있다.

이른 여름철에 노란 꽃이 핀다.

각지의 들판, 길가에서 흔히 자란다.

성분:
신선한 잎에 7mg%의 카로틴, 37~67mg%의 아스코르브산, 흔적의 알칼로이드, 마취작용 물질이 있다.

응용: 민간에서 사마귀를 떼기 위해서 전초즙을 바른다. 즙을 졸인 것은 설사약으로 쓴다. 또한 전초를 달여 오줌내기약으로 부기에 쓰며 중독에 독풀이약으로 쓴다. 그밖에 열내림약, 젖을 나게 하는 약, 열물내기약으로 구갈, 황달과 간염, 위장질병 등에 쓴다.] 

방가지똥을 봄나물로 먹는 것과 관련하여 이영득의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314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방가지똥

국화과ㅣ한두해살이풀

크기:
30~100cm

꽃 피는 때:
5~9월

자라는 곳:
들, 집 둘레 빈 터

잎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톱니가 있고, 줄기를 자르면 흰 즙이 나온다. 새싹은 봄에, 뿌리잎은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데쳐서 무치거나 볶아 먹는다. 쌈장에 찍어 먹거나 된장국을 끓이기도 한다. 꽃봉오리를 데쳐서 무치거나 볶아도 맛있다.

나물 할 때


새싹-봄

뿌리잎-가을~이듬해 봄

나물 하는 방법


새싹과 뿌리잎-뜯는다.
꽃봉오리-꽃봉오리가 맺힌 줄기를 뜯는다.

추천 음식


새싹과 뿌리잎-데쳐서 무침, 볶음, 쌈장 찍어 먹기, 된장국

꽃봉오리-데쳐서 무치거나 볶음.
]

방가지똥의 효능에 대해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6권 189면 2911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고거채(苦苣菜)

기원: 국과(菊科=국화과: Compositae)식물인 고거채(苦苣菜=방가지똥: Sonchus oleraceus L.)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일년생 초본이다. 줄기의 높이는 30-10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우상(羽狀) 심열(深裂)하거나 대두(大頭) 우상(羽狀) 전열(全裂) 혹은 반열(半裂)이며 가장자리에는 가 시모양의 첨거치(尖鋸齒)가 있고, 하부의 잎은 잎자루에 날개가 있으며 기부(基部)는 확대되어 줄기를 감싸고, 중상부의 잎은 자루가 없으며 기부(基部)는 이형(耳形)이다. 두상화서(頭狀花序)는 줄기의 끝에 배열되어 산방상(傘房狀)을 이루며, 총포(總苞)는 종모양이고 총포편(總苞片)은 2-3열(列)이며, 설상화(舌狀花)는 황색(黃色)이고 양성(兩性)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장타원상(長橢圓狀) 도란형(倒卵形)이고, 관모(冠毛)는 백색(白色)이다. 꽃은 7-8월에 핀다.






[방가지똥의 전초, 꽃, 잎의 모습, 사진 출처: 중국본초도록/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분포: 들판, 길가에 자란다. 중국 대부분의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들에서 자란다.

채취 및 제법: 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고 절편하여 쓴다.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양혈(凉血).

주치: 열독혈리(熱毒血痢), 옹종창독(癰腫瘡毒).

용량: 15-30g.

참고문헌: 길림성중약자원명록(吉林省中藥資源名錄), 152면.]

방가지똥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간경화

방가지똥, 초장초(酢漿草: 괭이밥) 각 37.5g을 돼지 고기와 함께 약한 불에 장시간 고아 복용한다. [강서(江西)]

2, 박사장[朴蛇
: 표달:疸]
방가지똥의 즙, 등심(燈心: 물에 오래 담갔다가 비벼서 가루로 만든 것)을 함께 복용한다. [보제방(普濟方)]

3, 만성 기관지염

방가지똥 500g, 대추 20개.

먼저 방가지똥을 흐물흐물 하게될 때까지 달인 다음 그 달인 물에 대추를 넣고 다시 달이다가 대추의 껍질이 터지면 꺼내어 남은 즙을 오랫동안 달여 엑스트랙트(Extract)를 만든다. 아침, 저녁으로 각기 한 숟가락의 엑스와 대추 한 개를 복용한다. [내몽고(內蒙古), 중초약의요법자료선편(中草藥醫療法資料選編)]

4, 소아 감적(疳積)

방가지똥 37.5g을 돼지 간과 함께 약한 불에 장시간 고아 복용한다. [강서(江西)]

5, 대구악창(對口惡瘡)

방가지똥을 짓찧은 즙 한 잔에 생강즙 한 숟가락을 넣어 술과 함께 복용하고 찌꺼기는 바른다. [당요경험방(唐瑤經驗方)]

6, 말벌에 쏘였을 때

방가지똥의 즙을 바른다. [적원방(摘元方)]

7, 여성의 유방이 발갛게 부어오르고 아플 때

방가지똥을 짓찧은 즙을 달여서 희석한 술과 함께 복용한다. [전남본초(
滇南本草)]

방가지똥의 어린순을 나물로 먹을 수 있다. 또한 신선한 것을 채취하여 녹즙을 내어 먹을 수도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방가지똥
사진 및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들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개쓴풀(흰꽃쓴풀) 무엇인가?
  2. 고들빼기(고설자) 무엇인가?
  3. 민들레(포공영) 무엇인가?
  4. 방가지똥 무엇인가?
  5. 뽀리뱅이(황암채) 무엇인가?
  6. 사데풀(거매채) 무엇인가?
  7. 쓴풀(당약) 무엇인가?
  8. 씀바귀(고채) 무엇인가?
  9. 왕고들빼기 무엇인가?
  10. 이고들빼기 무엇인가?
  11. 자주쓴풀(장아채) 무엇인가?
  12. 큰방가지똥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