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화채의 잎,
보라색 꽃봉오리, 흰색 꽃봉오리, 활짝 핀 꽃, 푸른 열매, 검은색 종자,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거풍산한,
활혈지통, 풍습동통, 요통, 질타손상(타박상), 치창을 다스리는 백화채
백화채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풍접초과의 한해살이풀이다.
백화채의
학명은 <Cleome
sgynandra L.>이다. 열대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줄기는 곧게 서서 높이 1m 내외까지 자라며
선모와 더불어 잔 가시가 흩어져 난다.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 겹잎이다.
작은잎은 5∼7개이고 긴 타원형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피고 홍자색 또는 흰색이며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이삭은
원줄기 끝에 발달하고 포는 홑잎처럼 생겼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4개씩이고
수술은 4개이며 남색 또는 홍자색이고 꽃잎보다 2∼3배 길다. 꽃잎 각각에
긴 줄기가 있어 마치 떨어져 있는 듯이 보이고 수술과 암술이 길게 뻗어나와
있다.
열매는 삭과로서 줄 모양이고 밑부분이 가늘어져서 대처럼
되며 종자는 신장형이다. 서인도제도 원산인 <Gynandropsis gynandra>를
풍접초라 하고 붉은꽃이 피는 종을 <서양풍접초>라고 하는 경우도 있으나 우리가 흔히
가꾸는 것이 본종이므로 풍접초로 하였다.
활짝 핀 꽃의 모습이
바람에 날아가는 나비를 닮았다고 하여 <풍접초(風蝶草)>라고
부르며, 서양에서는 꽃의 수술이 거미줄처럼 늘어졌다하여 <스파이더 플라워(Spider Flower)>,
옛날 예쁜 새색시가 수줍게 머리에 올리고 시집갈 때 쓰던 족두리를
닮았다고 하여 <족두리풀>이라고도 하며, 북한에서는 꽃이 나비를
닮았다고 하여 <나비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붉은꽃이 피는 것을 <풍접초(風蝶草)>,
흰꽃이 피는 것을 <백화채(白花菜)>로 나누기도 한다.
백화채의 다른 이름은 백화채[白花菜=bái
huā cài=바이↗후아 ̄차이↘: 왕영(王潁),
식물본초(食物本草)], 양각채[羊角菜=yáng
jiǎo cài=양↗쟈오V차이↘: 본초강목(本草綱目)], 루석초[屢析草=lǚ
xī
cǎo=뤼V시 ̄차오V: 생초약성비요(生草藥性備要)], 후우쵸우소우[フウチョウソウ:
일문명(日文名)], 흰풍접초, 흰족두리풀, 흰나비꽃, 흰족도리풀 등으로 부른다.
백화채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56면 86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백화채자(白花菜子)
기원(起源):
백화채과(白花菜科=풍접초과: Capparidaceae)식물인 백화채(白花菜=흰족두리풀:
Cleome gynandra L.)의 종자(種子). 전초(全草)도 약에 쓴다.


[사진
출처: 중국본초도록 및 대만 구글 이미지 검색]
형태(形態):
일년생(一年生) 초본(草本)이고 높이는 1m에 달하며 전주(全株)에서
악취가 난다. 잎은 장상복엽(掌狀複葉)으로 어긋나고, 엽병(葉柄)의
길이는 4∼6cm이며 소엽(小葉)은 막질(膜質)이고 자루가 없으며 엽저는
쐐기형이다. 총상화서(總狀花序)가 정생(頂生)하고 꽃자루가 있고, 포편(苞片)은
엽상(葉狀)이며, 꽃잎은 4장으로 백색(白色) 또는 자색(紫色)을 띠고
도란형(倒卵形)이고 긴 조(爪)가 있고, 수술은 6개이며 암술의 자방(子房)에
붙어서 나고, 암술대는 짧고 암술머리는 편두상(扁頭狀)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장각상(長角狀)이다.
분포(分佈):
논,
밭이나 길가, 도랑가에 야생한다. 중국의 하북(河北), 하남(河南), 안휘(安徽),
강소(江蘇), 산동(山東), 광동(廣東), 대판(台灣), 사천(四川), 귀주(貴州)
등에 분포한다.
성분(成分):
glucocapparin,
cleomin.
기미(氣味):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조금 있다.
효능(效能):
거풍산한(祛風散寒),
활혈지통(活血止痛).
주치(主治):
풍습동통(風濕疼痛),
요통(腰痛), 질타손상(跌打損傷), 치창(痔瘡).
용량(用量):
9∼15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회편(滙編),
하권, 204면.]
붉은꽃이 피는 것을 <풍접초(風蝶草)>,
흰꽃이 피는 것을 <백화채(白花菜)> 모두 대단히 아름답고 오래전부터
화단에 심어 꽃을 감상하는 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백화채(흰족두리풀)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 구글+대만 구글:
1,
2,
3,
4,
5,
※ 백화채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3,
4,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