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유 무엇인가?

연한 자줏빛꽃이 한쪽으로 치우쳐 이삭모양으로 달리는 향유

 

 

 

 

 

 

 

 

 

 

[향유의 잎, 꽃,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img1.jpg

 

 

[꽃향유의 잎, 꽃, 꽃 뒷면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발한 작용, 해열 작용, 지혈작용, 이담 작용, 위액 분비 촉진 작용, 위장의 연동 운동 자극 작용, 이뇨 작용, 발한해표, 화중화습, 이수소종, 비위불화, 흉격비체, 내감한기, 밖으로부터 받는 한사, 증한 장열, 신체동통, 지절권태, 곽란에 의한 구토, 비동번위, 중주불성, 사계절을 통한 상한 두통, 곽란에 의한 토리, 사지번통, 냉한이 나고 목이 마른 경우, 곽란에 의한 복통, 폭수풍수기, 전신 종기, 혀에 구멍이 난 것처럼 갑자기 출혈하는 증상, 해열, 이뇨, 지혈제, 더위먹은데, 부종, 답답한 증, 소변불리, 곽란으로 배가 아프며 토하고 설사하는데, 설사, 상처속에 물이 고인 증상, 변비, 해수, 위장병, 서습증, 여름감기, 부스럼, 각기, 위장 평활근 억제, 거담, 피부진균 억제 효과, 신장 혈관을 자극하여 사구체에 충혈을 일으켜 사구체 여과율을 증대시키는데, 수종 , 두통발열, 오한무한, 복통, 구토, 각기, 거풍, 사지 마비, 폐결핵에 의한 토혈, 감기, 창독, 위염, 비혈, 구취를 다스리는 향유 및 꽃향유

향유(香薷)는 산과 들의 풀밭에서 자라는 꿀풀과의 한해살이풀이다.

향유의 학명은 <Elsholtzia ciliata>이다. 노야기라고도 한다. 산야에서 비교적 흔히 자란다. 높이 30∼60 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원줄기는 사각형이다. 잎은 마주달리고 난형이며 양 끝이 좁다.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길다.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자줏빛이며 한쪽으로 치우쳐서 이삭 모양으로 달린다. 포는 둥근 부채같이 생기고 때로 자줏빛이 돈다. 꽃받침과 화관에 털이 있고 화관은 입술 모양이다. 종자는 물에 젖으면 점성이 생긴다.

한방에서는 꽃이 필 때 전초를 말린 것을 향유라고 하며, 발한, 해열, 이뇨, 지혈제로서 부스럼, 각기, 수종 , 위염, 비혈 및 구취를 치료하는 데 사용한다. 아시아의 온대에서 유럽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 참조:
중국에서는 아래의 7가지 종류를 향유라는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1, 해주향유[
海州香薷=꽃향유: 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 Maekawa.]
<오감으로 찾는 우리풀꽃 322면>: "오감정보: 꽃이 향유보다 두세 배 정도 크고 화려하며 진한 보라색으로 핀다. 향유보다 톱니가 더 굵다. 한쪽 방향만 보고 피는 점이 배초향과는 다르다. 배초향보다는 덜한 향기가 난다."

2, 향유[香薷=
향유: Elsholtzia ciliata (Thunb.) Hyland]
<오감으로 찾는 우리풀꽃 321면>: "오감정보: 한쪽 방향만 보고 피는 점이 배초향과는 다르다. 식물체에서 화한 향기가 나지만 배초향보다는 덜하다. 잎 가장자리 톱니가 꽃향유보다 자잘한 점이 다르다."

3, 석향유[
石香薷=가는잎산들깨: Mosla chinensis Maxim]

4, 우지[
牛至=토향유:土香薷=불가레 오레가노: Origanum vulgare L.]

5, 악과향유[
萼果香薷=엘숄치아덴사: Elsholtzia densa Benth var. calycocarpa (Diels) C. Y wu]

6,
밀화향유[密花香薷=엘숄치아덴사: Elsholtzia densa Benth]

7, 밀향유[密香薷=
엘숄치아덴사: Elsholtzia densa Benth var insthina (Maxim) C. Y. Wu]

향유의 여러 가지 이름은
향유[香薷=
xiāng rú=시앙: 명의별록(名醫別錄)], 향유[香葇: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향채[香菜: 천금방(千金方)], 향융[香戎: 식료본초(食療本草)], 향용[香茸: 본초도경(本草圖經)], 자화향유[紫花香葇: 이참암본초(履巉岩本草)], 밀봉초[蜜峰草: 본초강목(本草綱目)], 해주향유[海州香薷: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수형개[水荊芥, 취형개:臭荊芥, 야소마:野蘇麻, 앙급노목-기기격(昂給魯木-其其格), 반변화:半邊花, 반변소:半邊蘇, 변지화:邊支花, 변지화:邊枝花, 취곽향:臭藿香, 취향마:臭香麻, 덕창향유:德昌香薷, 풍이초:風耳草, 계관향유:雞冠香薷, 형개:荊芥, 납납향:拉拉香, 배향초:排香草, 편두초:偏頭草, 청룡도:青龍刀, 산소자:山蘇子, 수방화:水芳花, 철간화:鐵杆禾, 토향유:土香薷, 퇴색향유:退色香薷, 향초:香草, 향여:香茹, 향유초:香薷草, 소형개:小荊芥, 소엽소어:小葉蘇於, 소엽소자:小葉蘇子, 야곽향:野藿香, 야향유:野香薷, 야향소:野香蘇, 야어향:野魚香, 야지마:野芝麻, 야자소:野紫蘇, 어향채:魚香菜, 패자채:壩子菜, 판쇄화:板刷花, 취형개청룡재:臭荊芥青龍才, 화마초:火麻草, 마황사:螞蝗痧, 석향유:石香薷, 동초화:銅草花, 토지향유:土地香薷, 토미파:兔尾巴, 향곽:香藿, 소엽파호:小葉巴蒿, 야파자:野芭子, 야패호:野壩蒿, 야패자:野壩子, 야임자:野荏子, 야소자:野蘇子, 자화향채:紫花香菜, 자향유:紫香薷: 백도백과(百度百科)], 나기나타코우쥬[ナギナタコウジュ=薙刀香薷: 일문명(日文名)], 석향[石香], 노야기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여름과 가을에 열매가 성숙하면 지상 부분을 잘라내어, 햇볕에 말리거나 혹은 그늘에서 말린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말린 전초는 백색의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줄기는 직립 또는 약간 물결 모양으로 만곡하여 길이는 30~50cm이고 지름은 1~3mm이며 뿌리에 가까운 부분은 둥글고 상부는 사각기둥 모양으로 마디가 뚜렷하며 연보랏빛 또는 황록색이다. 질은 취약해서 쉽게 절단된다. 잎은 마주 나며 주름져서 쪼그라들거나 쉽게 부서지거나 이미 탈락해 있다. 습기를 가하여 평평하게 펼치면 잎몸은 피침형 혹은 긴 달걀 모양으로 길이는 2.5~3.5cm이고 너비는 3~5mm이다. 가장자리에는 성글게 톱니가 있고 암녹색 혹은 회녹색이다. 줄기 끝에 수상 화서(穗狀花序)가 있으며 담황색 혹은 연한 자색이고 숙존한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꽃떡잎이 탈락된 것도 있고 남아 있는 것도 있다. 짙은 향기가 있으며 맛이 맵고 혀가 약간 저린다. 연하고 줄기는 연한 자색이고 잎은 녹색이며 화수(화수)가 많고 향기가 짙은 것이 양품이다.

주산지는 중국의 강서(江西), 하북(河北), 하남(河南) 등지이다. 강서(江西)의 생산량이 많고 품질이 좋기 때문에, 보통 강향유(江香薷)라고 불리운다. 각지의 민간에서 사용되고 있는 향유(香薷)에는 아래와 같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1, 사천(四川), 섬서(陝西), 산동(山東) 등지에서 동속 식물인 향유[Elsholtzia ciliata (Thunb.) Hyland]의 말린 전초를 향유(香薷)로 사용한다. 약재의 모양은 상기한 품종과 비슷하지만 잎이 비교적 크고 달걀 모양 타원형 또는 피침형 타원 모양으로 길이는 3.5~10cm이고 너비는 1.5~3cm이다. 수상 화서(수상화서)이며 꽃은 뚜렷하게 한쪽으로 향한다. 사천(四川)에서는 덕창향유(德昌香薷) 또는 토향유(土香薷)라고 부른다. <본초연의(本草衍義)>에 있는 향유(香薷)는 본품종이지만, 현재 약재 상품 중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상세한 내용은 <반변소(半邊蘇)> 조목을 참조하라.

2, 복건(福建), 강서(江西), 호남(湖南), 호북(湖北), 광동(廣東), 광서(廣西), 귀주(貴州) 등지는 꿀풀과 식물 석향유(石香薷: Moslachinensis Maxim)의 전초를 향유(香薷)로 사용한다. 상세한 내용은 <석향유(석香薷)> 조목을 참조하라.

3, 운남(雲南), 사천(四川), 귀주(貴州) 등지의 꿀풀과 식물 우지(牛至: Origanum vulgare L.)의 전초를 향유(香薷)로 사용한다. 상세한 내용은 <토향유(土香薷)> 조목을 참조하라.

4, 신강(新彊) 구역에서 사용하는 향유(香薷)는 꿀풀과 식물 악과향유[
萼果香薷: Elsholtzia densa Benth var. calycocarpa (Diels) C. Y wu]의 전초를 사용한다. 상세한 내용은 <악과향유(萼果香薷)> 조목을 참조하라.

5, 서장(西藏) 지역에서는 밀화향유[密花香薷: Elsholtzia densa Benth)와 그 변종(E. densa Benth var insthina (Maxim) C. Y. Wu]의 전초를 약용으로 하는데 또 밀향유(密香薷)라고도 부른다."

[성분]


<중약대사전>: "해주향유(
海州香薷)는 정유를 함유하고 있다. 밀화향유(密花香薷)는 정유 0.3%를 함유하며 그중 주성분은 elshotzidiol이다. 또 스테롤, 페놀성 물질과 flavonoid glycoside를 함유한다."

[포제(
炮製)]

1, <중약대사전>: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을 분무하여 수분을 침투시키고 나머지 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2, <뇌공포자론(
雷公炮炙論)>: "뿌리를 버리고 잎을 남겨서 잘게 썬 후 햇볕에 말린다. 불에 쪼여서는 안 된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2, <명의별록>: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3, <맹선>: "성질이 따뜻하다."

4, <전남본초>: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5, <본초휘언>: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귀경(歸經)]


1, <중약대사전>: "폐(肺), 위(胃) 2경(經)에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 "폐(肺),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3, <신농본초경소>: "족양명(足陽明), 태음(太陰), 수소음경(手少陰經)에 들어간다."

4, <본초경해>: "족소양담(足少陽膽), 수태음폐(手太陰肺),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발한(發汗)하고 더위를 풀어 주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습을 발산시키며 위(胃)를 덥혀 주고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는 효능이 있다. 여름에 한기(寒氣)를 받은 음냉(飮冷), 두통 발열, 오한무한(惡寒無汗), 흉비복통(胸
腹痛), 구토, 설사, 수종, 각기를 치료한다."

2, <명의별록>: "
곽란(霍亂), 복통토하(腹痛吐下)를 다스리고 수종을 풀어준다."

3, <맹선>: "열풍사(熱風邪)를 몰아내고 급성 근육 경련에는 탕액을 돈복한다. 또 마른 가루를 물로 복용하면 코피를 멎게 한다."

4, <일화자제가본초>: "기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을 내리고 번열(煩熱)을 제거하며 구역냉기(嘔逆冷氣)를 치료한다."

5, <이참암본초>: "사계절의 상한의 주기적 발작을 예방한다."

6, <본초연의보유>: "상서(傷暑)를 치료하고 소변을 통하게 한다."

7, <전남본초>: "표사(表邪)를 제거한다. 중서(中暑) 두통, 서사두장(暑瀉
肚腸) 동통, 서열(暑熱)을 제거하고 새수를 치료하며 발한(發汗)하게 하고 온위(溫胃)하며 중초를 조화시킨다."

8, <
왕영(汪潁), 식물본초(食物本草)>: "여름에 달여서 차(茶) 대신으로 마시면 열병이 없어지고 즙으로 입을 가시면 나쁜 냄새를 제거한다."

9, <본초강목>: "각기한열(脚氣寒熱)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1~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금기(禁忌:
주의사항)]

1, <중약대사전>: "표허(表虛)인 사람은 복용하면 안 된다."

2, <본초종신>: "표사(表邪)가 없는 사람은 복용하면 안 된다."

3, <득배본초>: "화성기허(火盛氣虛), 음허유열(陰虛有熱)인 사람은 복용하면 안 된다."

향유의 효능에 대해서 황도연이 쓴
<방약합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향유(香薷)

[香薷味辛治傷署  
亂便澁腫煩去]
[향유미신치상서  곽란변삽종번거]

노야기맛 매운데

더위먹어 상한 때며

곽란증에 쓰거니와

부은것과 답답한 증

변비 또한 치료하네

일명 향여(香茹)라고 한다.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이 약은 금과 수에 속하는 약이기 때문에 약기운이 위로도 가고 아래로도 간다. 이 약은 불기운을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하며 오래 묵은 것이 좋다. 기가 허한 사람에게는 많이 쓰지 못한다.[본초] 줄기는 버리고 생강즙에 추겨 볶아서 쓴다[입문].
]

향유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 35면 21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향유(香
)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꽃향유(Elsholtzia splendens Nakai es F. Maekawa), 향유(Elsholtzia ciliata (Thunb.) Hylander)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효능:
발한해표(發汗解表), 화중화습(和中化濕), 이수소종(利水消腫)

해설: ① 방향성이 강하여 여름 감기로 열이 나고 오슬오슬춥고 두통과 땀이 안 나는 증상에 유효하다. ② 여름철에 복통 및 설사를 일으킬 때 백편두(白扁豆) 즉 흰까치콩과 배합해서 사용한다. ③ 이뇨 작용이 있어서 소변을 잘 못 보는 증상에 백출(白朮)을 가미하여 사용하면 효력이 있다.

성분:
휘발성 정유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① 휘발성 성분은 해열, 발한 작용을 보인다. ② 위액 분비 촉진 작용과 위장의 연동 운동 자극 작용이 있어서 위장 평활근을 억제시키고, 또한 거담(祛痰) 및 피부진균 억제 효과를 보인다. ③ 신장 혈관을 자극하여 사구체(絲球體)에 충혈을 일으켜 사구체 여과율을 증대시키므로 이뇨 작용을 얻게 된다.]

향유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 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향유(香
) //노야기, 석향(石香), 향여(香茹)// [본초]

꿀풀과의 속하는 일년생 풀인 노야기[Elscholtzia patrini (Lep.) Geke]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기슭, 들판, 길가, 개울가, 밭둑에서 널리 자란다. 꽃이 피는 여름철과 가을에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폐경, 위경에 작용한다. 땀이 나게 하고 서습(暑濕)을 없애며 위(胃)를 덥혀주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발한 작용, 해열 작용, 위액분비촉진작용, 지혈 작용, 이담 작용 등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서습증, 여름감기, 부종, 소변불리, 곽란(
霍亂)으로 배가 아프며 토하고 설사하는 데 등에 쓴다. 하루 4~12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향유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435면 546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향유[香
薷: Elscholtzia ciliata (Thunb.) Hylander] [꿀풀과]

한해살이풀. 높이 30~60cm. 잎은 어긋 난다. 꽃은 연한 홍자색으로 8~9월에 한쪽으로 치우쳐 빽빽하게 달린다. 꽃받침은 5개, 꽃통은 4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열매는 분과로 달걀 모양이다.

분포/
전국의 산에서 흔히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몽고, 사할린, 유럽에 분포한다.

채취/
전초를 여름부터 가을까지 채취하여 말린다.

약효/
우리 나라에서는 전초를 향유(香薷)라고 하며, 발한, 해서, 화습, 온위, 조중(調中)의 효능이 있고, 두통발열, 오한무한(惡寒無汗), 복통, 구토, 하리, 수종, 각기를 치료한다. 중국에서는 전초를 반변소(半邊蘇)라고 하며, 거풍, 발한의 효능이 있고, 사지 마비, 폐결핵에 의한 토혈, 감모, 창독을 치료한다.

성분/
정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은 elsholtziaketone이다.

사용법/
전초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참고/
꽃향유, 가는잎향유, 좀향유, 털향유도 약효가 같다. 애기향유에 비하여 크고 포는 녹색이다. 중국에서는 (E. haichowensis Sun)의 전초를 강향유(江香薷), (Mosla chinensis Maxim.)의 전초를 청향유(淸香薷)라 하여 사용한다.]

꽃향유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0권 143면 481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해주향유(海州香薷=향유:香薷)

기원: 순형과(盾形科=꿀풀과: Labiatae)식물인 해주향유(海州香薷=꽃향유: 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 Mackawa)의 지상부분이다.

형태: 일년생 초본이다. 줄기는 4개의 능각(稜角)이 있으며, 높이는 20∼40cm이다. 잎은 마주나고 구원상(矩圓狀) 피침형(披針形)에서 피침형(披針形)에 이르며 잎가장자리에는 거치가 드문드문 난다. 가수상화서(假穗狀花序)가 정생(頂生)하며 한쪽으로 편향되어 있고, 포편은 거의 원형(圓形)으로 꼬리모양의 날카로운 가시가 있으며, 꽃받침은 통모양으로 5개의 톱니가 있고, 화관은 입술형태로 불그스름한 자색(紫色)이며 상순(上脣)은 직립하고 윗쪽끝은 약간 오목하며 하순(下脣)은 3개로 갈라지고 중간부분의 열편은 크며 원형(圓形)이고, 수술은 4개이다. 열매는 소견과(小堅果)로 구원형(矩圓形)이다.



분포: 산비탈의 길옆 혹은 풀숲중에서 자란다. 중국의 요녕(遼寧), 하북(河北), 산동(山東), 하남(河南), 강소(江蘇), 강서(江西), 절강(浙江), 광동(廣東)에 분포(分布). 우리나라에서 산야에서 자란다.

채취 및 제법: 여름, 가을에 줄기와 잎이 무성하고 과실이 성숙했을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volatile oils.

기미: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효능: 발한해표(發汗解表), 화중이습(和中利濕).

주치: 서습감모(暑濕感冒), 오한발열(惡寒發熱), 두통무한(頭痛無汗), 복통토사(腹痛吐瀉), 소변불리(小便不利).

용량: 3∼9g

참고문헌: 약전(藥典), 1985년 1권 223면.]

향유 및 꽃향유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비위불화(脾胃不和), 흉격비체(胸膈
痞滯), 내감한기(內感寒氣), 밖으로부터 받는 한사(寒邪), 증한장열(憎寒壯熱), 신체동통, 지절권태(肢節倦怠), 곽란(霍亂)에 의한 구토, 비동번위(脾脾疼飜胃), 중주불성(中酒不醒), 사계절을 통한 상한두통(傷寒頭痛)
흙을 털어 버린 향유 2냥, 구감초(灸甘草) 0.5냥, 볶은 백편두(白扁豆), 껍질을 벗겨서 강즙(薑汁)으로 볶은 후박(厚朴), 복신(茯神) 각 1냥을 미세한 분말로 간다. 매회 2돈을 소금을 푼 열탕(熱湯)으로 복용한다. [국방(局方), 향유탕(香薷湯)] 

2, 곽란(
霍亂)에 의한 토리(吐痢), 사지번통(四肢煩痛), 냉한(冷汗)이 나고 목이 마른 경우
썬 신선한 향유(香薷) 2냥, 요자(蓼子) 1냥을 거칠게 찧어서 체로 친다. 매회 2돈을 물 한 컵에 7할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1일 3회 온복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향유탕(香薷湯)]

3, 곽란(
霍亂)에 의한 복통, 토리(吐痢)
썬 신선한 향유(香薷) 1되, 부순 소산(小蒜) 1되, 구후박(灸厚朴) 6냥, 생강(生薑) 10냥을 썰어서 물 한 말로 달여, 3되가 되게 하여, 3회에 나누어 구토, 설사가 멎을 때까지 복용한다. 매회 따뜻하게 데워야 한다. [구급방(救急方), 향유탕(香薷湯)]

4, 폭수풍수기(暴水風水氣), 수종 또는 창(瘡)속에 물이 있는 증세, 전신 종기

말린 향유(香薷) 1근, 찧어 체로 친 백출(白朮) 7냥을 향유를 진하게 달인 즙액으로 백출(白朮)과 함께 벽오동씨 크기로 환제를 만든다. 매회 10환을 매일 4~5회 복용하면 소변을 통하게 하는 데 매우 좋다. 여름에는 꽃과 잎을 취하여 함께 섞어 써도 좋다. 청어(靑魚), 해조(海藻), 숭채(菘菜: 배추), 복숭아, 자두, 참새 고기를 꺼린다. [승심집방(
深集方), 향유출환(香薷朮丸)]

5, 혀에 구멍이 난 것처럼 갑자기 출혈하는 증상

향유즙 1되씩을 1일 3회 복용한다.
[주후방(肘後方)]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본초연의보유(本草衍義補遺)>:
"향유(香薷)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효능이 있고 치수(治水)하는 효능이 매우 빠르다. 폐(肺)가 본약을 만나면, 청화(淸化)가 이루어져 열이 저절로 내린다. 또 대엽향유(大葉香薷)는 상서(傷暑)를 치료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즙을 짙게 달여서 고(膏)로 하고 환제로 하여 복용하면 수종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본초서(本草書)는 곽란 치료에 불가결하다고 하였다."

2, <본초강목(本草綱目)>:
"세의(世醫)들은 모든 병(病)의 치료에서 향유음(香薷飮)을 으뜸으로 삼았다. 즉 여름에 그늘에서 냉(冷)한 음료를 마시면 양기(陽氣)가 음사(陰邪)에 의해 억제될 수 있는데 내버려 두면 결국은 두통, 발열, 오한, 번열 구갈 또는 구토, 하리, 곽란병에 걸리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본 약을 써서 발월양기(發越陽氣), 산수화비(散水和脾)하면 좋다. 만약 음식을 절제하지 않거나 노역(勞役), 복상(服喪)인 사람이 더위에 상하여 대열대갈(大熱大渴)이 있고 비처럼 땀을 흘리며 번조, 천식이 있거나 하리, 구토한다면 이것은 노권내상(勞倦內傷)의 증(證)이다.

이런 경우에는 반드시 동원(東垣)의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인삼백호탕(人蔘白虎湯) 등을 사용하여 사화(瀉火), 익기(益氣)하여야 한다. 만약 향유(香薷)가 든 약을 사용한다면 이는 그 표(表)를 몹시 허(虛)하게 하고 거기에 또 열을 가하게 된다. 향유(香薷)는 여름의 해표약(解表藥)으로서 겨울에 마황(麻黃)을 쓰는 것과 같은데 기허(氣虛)의 증에는 특히 다용하면 안 된다.

지금 사람들은 더위가 원기(元氣)를 상(傷)하는 것을 모르고 병(病)의 유무를 불문하고 거의 차(茶)로 대신하여 쓰면서 더위를 물리칠 수 있다고 말하는데 이것은 바로 무지한 사람들의 어리석은 짓이다. 본약의 성질은 따뜻하므로 뜨겁게 해서 복용하면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오히려 토역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므로 반드시 식혀서 복용해야 한다. 그러면 거격(拒格)의 우려는 없게 된다. 본약의 치수(治水)하는 효능은 기효(奇效)하다고 할 수 있다."

[향유 재배법]


1, 기후와 토양: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란다. 비옥하고 부드러우며 물이 잘 빠지는 사질 양토가 좋다.

2, 정지:
가을 이후에 밑거름을 주고 깊게 갈아 토양을 충분하게 풍화시킨다. 다음 해 봄에 한층 더 깊이 갈고 흙을 보드랍고 평탄하게 고른 후 너비 0.8~1m로 두둑을 만든다.

3, 번식:
봄 파종은 4월 중순(춘분 후 15일, 양력 4월 20일 또는 21일)에 하고 여름 파종은 5월 하순부터 6월 상수(매년 6월 7일, 8일 전후)까지 한다. 줄뿌리기, 흩뿌리기 모두 가능하다.

① 줄뿌리기법:
먼저 두둑에 이랑 사이 거리 30~35cm 정도로 골을 파서 종자를 골 안에 고루 뿌리고 흙을 덮고 물을 준다. 1무당, 0.75~1kg의 종자가 필요하다.

② 흩어뿌리기법:
먼저 두둑에 물을 뿌리고 1~2일 후에 종자를 뿌리고 보드라운 흙과 초목회로 얇게 덮는다. 1무(
)당 2.5~3kg의 종자를 뿌린다.

4, 경작 관리:
파종 후 3~5일 만에 한 번 씩 연속하여 4~5회 물을 주고 대체로 10~20일이 지나면 모가 나온다. 생장기에 4~5회 사이갈이와 김매기를 한다. 모가 4~6cm 가량 자랐을 때 덧거름을 준다. 1무(
)당 유산암모늄 5kg 또는 콩캣묵 40~50kg을 준다. [중약대사전]

가을에 향유 및 꽃향유 꽃이 아름답게 피어 눈을 즐겁게 하고 감상하면서 적당히 채취하여 가정 상비약으로 요긴하게 사용하면서 차로 달여서 따뜻하게 또는 식혀서 마시면서 그 향내음에 도취되어 누구나 기쁨을 맛보기 바란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향유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꽃향유 사진 감상: 1,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골무꽃 무엇인가?
  2. 광대나물 무엇인가?
  3. 곰보배추(배암차즈기) 무엇인가?
  4. 금창초 무엇인가?
  5. 긴병꽃풀(금전초) 무엇인가?
  6. 꿀풀(하고초) 무엇인가?
  7. 단삼 무엇인가?
  8. 들깨 무엇인가?
  9. 박하 무엇인가?
  10. 배초향 무엇인가?
  11. 석잠풀 무엇인가?
  12. 속단 무엇인가?
  13. 쉽사리(택란) 무엇인가?
  14. 익모초 무엇인가?
  15. 조개나물 무엇인가?
  16. 차즈기 무엇인가?
  17. 참골무꽃 무엇인가?
  18. 초석잠 무엇인가?
  19. 향유(노야기) 무엇인가?
  20. 황금(속썩은풀)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꽃향유 사진도 감상해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